본문 바로가기
리뷰/독서

[책 리뷰] 아버지의 해방일지 / 정지아 장편소설

by IN×× 2023. 2. 13.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저, 창비 출판, 2022년.

 

총평

 내가 이 책의 배경인 구례에 살기 때문일까, 소설이 아닌 긴 수필 같았다.

하지만 내가 겪어보지 못했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보니 역사 다큐멘터리를 한 편 본 것 같기도 한 느낌.

심각하게 읽다, 피식 웃다, 결국 눈물 차오르게 하는 삶의 이야기. 처음부터 끝까지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였다.

 

정지아 작가 소개

 정지아 작가는 1965년 전남 구례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1990년 장편소설 <빨치산의 딸>을 펴내며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199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고욤나무>가 당선되었다. 소설집 <행복>, <봄빛>, <숲의 대화>, <자본주의의 적> 등이 있다. 김유정문학상, 심훈문학대상, 이효석문학상, 한무숙문학상, 올해의 소설상, 노근리 평화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감상 및 느낀점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장례를 치르면서 그의 딸(소설 속 화자)이 아버지의 삶을 되돌아보는 이야기이다. 첫 문장이 강렬해서 인지 초반에는 딸이 아버지에게 원망이 많구나...싶었다. 그런데 읽다 보니 왜 아버지는 그럴 수 밖에 없었는지 이해가 되면서도 딸의 입장도 매우 이해가 되었다. 빨치산, 빨갱이, 사회주의, 자본주의 등 이데올로기적인 단어들이 많아 쉽사리 접근하기 힘든 책이었지만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재미있었다. 그렇다고 그 때의 역사에 대해서 가볍게 지나치지 않아서 더욱 마음 찡한 이야기였던 것 같다.

 그리고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하나 같이 개성적이라 영화 보듯 훌훌 읽었다. 각 캐릭터들의 신념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얽히면서, 결국 이해로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사회주의든, 민주주의든, 다 사람 사는 곳은 똑같구나 싶었다. 캐릭터들의 사투리(정확히는 구례 사투리) 때문에 대사들을 몇 번씩 다시 읽는 경우가 많았는데, 현실에서 할머니, 할아버지가 하는 말을 다시금 곱씹어 이해하는 내 자신이 떠올라 풋 하고 웃는 게 한 두번이 아니였다.

 강력한 첫 문장처럼 끝마무리도 묵직했다. 영화가 끝난 뒤에 그 여운 때문에 바로 일어나지 못하는 느낌이랄까. 결국 딸은 빨치산 아버지의 삶이 아닌 내 아버지의 삶을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아버지를 이해해주는 사람들과 만나 아버지를 이해하고, 아버지를 대적하는 사람들과 만나 결국 아버지에게 공감한다.

 

아버지가 죽었다. 전봇대에 머리를 박고. 평생을 정색하고 살아온 아버지가 전봇대에 머리를 박고 진지 일색의 삶을 마감한 것이다.   -    p.7
"상욱아. 너 하염없다는 말이 먼 말인 중 아냐?"
아버지는 말문이 막혔고 박선생은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   p.49
오래 손에 쥐고 있었던 탓인지 유골이 차츰 따스해졌다. 그게 나의 아버지, 빨치산이 아닌, 빨갱이도 아닌, 나의 아버지   -   p. 265

 

 


 

 
아버지의 해방일지
김유정문학상 심훈문학대상 이효석문학상 등을 수상하며 문학성을 두루 입증받은 ‘리얼리스트’ 정지아가 무려 32년 만에 장편소설을 발표했다. 써내는 작품마다 삶의 현존을 정확하게 묘사하며 독자와 평단의 찬사를 받아온 작가는 이번에 역사의 상흔과 가족의 사랑을 엮어낸 대작을 선보임으로써 선 굵은 서사에 목마른 독자들에게 한모금 청량음료 같은 해갈을 선사한다. 탁월한 언어적 세공으로 “한국소설의 새로운 화법을 제시”(문학평론가 정홍수)하기를 거듭해온 정지아는 한 시대를 풍미한 『빨치산의 딸』(1990) 이래로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아버지 이야기를 다룬다. 소설은 ‘전직 빨치산’ 아버지의 죽음 이후 3일간의 시간만을 현재적 배경으로 다루지만, 장례식장에서 얽히고설킨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해방 이후 70년 현대사의 질곡이 생생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웅장한 스케일과 함께 손을 놓을 수 없는 몰입감을 동시에 안겨주는 것은 정지아만이 가능한 서사적 역량이다. 그러나 이 소설의 진정한 묘미는 어쩌면 ‘가벼움’에 있다. “아버지가 죽었다. (…) 이런 젠장”으로 시작하는 첫 챕터에서 독자들은 감을 잡겠지만 이 책은 진중한 주제의식에도 불구하고 ‘각 잡고’ 진지한 소설이 아니다. 남도의 구수한 입말로 풀어낸 일화들은 저마다 서글프지만 피식피식 웃기고, “울분이 솟다 말고 ‘긍게 사람이제’ 한마디로 가슴이 따뜻”(추천사, 김미월)해진다.
저자
정지아
출판
창비
출판일
2022.09.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