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법편5

[공시 기록] 영어 : 문법 핵심 편 (2) 3. 규칙 동사와 불규칙 동사 (1) 동사의 형태 ① 자동사 : 목적어 없이 사용한다. ② 타동사 : 반드시 목적어를 갖는다. (2) 동사의 과거 형태(규칙 동사) 형태 대부분의 경우 동사원형 + ed -s, -sh, -ch, -o, -x로 끝나는 경우 동사원형 + d 자음 + y로 끝나는 경우 y를 i로 바꾼 후 + ied 단모음 +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끝 자음을 한 번 더 쓰고 + ed (3) 불규칙 동사의 3단 변화 현재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go went gone do did done see saw seen give gave given rise rose risen take took taken fall fell fallen lie lay lain lay laid laid have had had ma.. 2023. 3. 16.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4) 어문규정 문법 이론문법 음운론(소리) + α 형태론(단어) 통사론(문장) 어문규정 한글맞춤법 표준발음법 표준어사정원칙 1. 두음법칙 : 첫 번째 글자의 초성, 여기에 제약이 있는 것 (1) [대전제] 한자어에서 일어나는 게 두음법칙 (2) 두음에 ‘ㄹ’이 오지 못하고 ‘ㄴ’이 오는 것 (3) ‘ㄴ’ + ‘ㅣ’ / 반모음 ‘ㅣ’가 올 때는 ‘ㄴ’마저도 못 옴 * ‘ㄴ’이 떨어져 나간다고 생각하면 됨. (4) 3글자 한자어 이상은 의미결합을 살펴보아야 함 * 이때, 1은 두음법칙을 적용한다는 뜻 (5) 4글자 한자어 (6) 준말 (7) 고유어, 외래어 (8) 모음 or ‘ㄴ’ 받침 뒤에 오는 한자어 ‘렬/률’은 ‘열/율’로 바꾼다! ⭐ : 두음법칙 공식 중 (8)을 가장 우선적으로 적용함. : 즉, ‘렬/률’ 나오면.. 2023. 3. 9.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3) 통사론 문법 이론문법 음운론(소리) + α 형태론(단어) 통사론(문장) 어문규정 한글맞춤법 표준발음법 표준어사정원칙 * 어절: 띄어쓰기의 다리 * 문장이 되려면 주어와 서술어가 꼭 있어야 함. 1. 절 1) 어절 2개 이상 2) 주어 + 서술어 3) 전체 문장 속에 들어 있는 작은 문장(절) (1) 명사절 : ‘무엇을’로 대체 가능 ① ‘음/ㅁ’명사절 : 완료의 의미를 나타냄. ② ‘기’명사절 : 미완료 의미를 나타냄. (2) 관형절 ⭐ : 명사를 꾸며줌 ① 관계 관형절 ☆ : 관형절의 꾸밈을 받는 대상이 꾸며주는 관형절의 문장성분으로 컴백이 가능한 절 : 관계관형절은 끌어와서 2어절로 만들 수 있으므로 끌어오기 전인 1어절도 절이 될 수 있다! ※ 단, 모든 관형절이 끌어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② 동격(대.. 2023. 3. 8.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2) 형태론 문법 이론문법 음운론(소리) + α 형태론(단어) 통사론(문장) 어문규정 한글맞춤법 표준발음법 표준어사정원칙 1. 합성어 : 뭔가가 합쳐진 단어 (1) 통사적 합성어 : 뭔가가 합쳐질 때, 우리나라의 문장구성방식과 문법구성방식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 : 정상적인 모습으로 결합 (2) 비통사적 합성어 : 뭔가가 합쳐질 때, 우리나라의 문장구성방식과 문법구성방식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 :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결합 ① 용언 + 체언 : 앞말의 어간 부분을 잘라서 뒷말의 체언에 막 바로 붙일 때 *용언: 동사·형용사 *체언: 명사·대명사·수사 ② 용언 + 용언 : 앞에 오는 용언의 어간 부분을 막 바로 오는 용언에 붙일 때 ③ 부사 + 체언 ex) 부슬비, 헐떡고개, 산들바람, 척척박사 ..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