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치제도2 [공시 기록] 한국사 : 조선시대 세계관의 변화(1) 1. 조선 전기 정치 (왕의 업적을 중심으로) (1) 태조(+ 정도전) 1) 법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2) 불씨잡변: 불교를 비판 3) 재상 중심의 통치제도를 두고자 함 → 이로 인해 태종과 마찰이 생김 → 왕자의 난 과정에서 정도전을 죽임 (2) 태종(태조의 5번째 아들) 1) 6조 직계제 실시 *6조 직계제: 조선시대 6조의 판서가 나랏일을 왕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한 제도 *의정부 서사제: 6조의 업무를 의정부를 거쳐 국왕에게 올라가게 한 제도 2) 사간원을 독립시켜 대신들을 견제함 3) 사평 철폐 4) 호패법 (3) 세종 1) 의정부서사제 실시 2) 집현적 확대·운영 3) 농사직설: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 4) 칠정산(역법) *농사직설과 칠정산은 중국의 문화가 아닌 우리의 문화에 맞게 만듦... 2023. 4. 5.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1) 1. 고려의 전체 흐름 (1) 호족 연합정권: 호족 + 6두품 계열의 지식인 (2) 문벌귀족사회: 파벌을 이루어서 세습하는 것 - 음서: (정치적으로) 5품 이상 관료 자제들에게 특채를 주는 것 - 공음전: (경제적으로) 5품 이상 관료들이 받았던 토지 (3) 무신정권[정변]: 몽골(원나라)의 침략으로 무신정권 붕괴 (4) 원 간섭기 1) 권문세족 ① 원나라(몽골)에게 빌붙는 사람들 ② 악질적이고 부패한 세력 2) 신진사대부 ① 고려 말 개혁세력 ② 이성계와 신흥세력들이 연결되면서 조선이란 국가로 넘어감 2. 고려 초반 왕들의 업적 (1) 태조 1) 호족에 대한 강경책 ① 기인(인질): 지방 유력 호족의 자식들을 수도에 일정기간 머물게 하는 것 ② 사심관: 지방에서 중앙으로 올라온 중앙고위관리들이 자기 .. 2023. 3.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