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29 [공시 기록] 한국사 : 4.19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1. 4.19혁명 (1) 3.15 부정선거 [1906년] : 자유당 정권에 의하여 대대적인 선거 부정행위가 자행되었던 제4대 대통령선거와 제5대 부통령 선거 (2) 전개 1) 대구 2.28 항쟁 2) 마산 의거 활동 → 경찰이 쏜 최루탄에 희생된 김주열 학생의 시신 발견 → 2차 마산 의거 3) 고려대 학생들의 시위 4) 교수 시국 선언 ⭐ 5) 이승만 하야 2. 민주화를 위한 노력 (1) 허정 과도 정부 1) 개헌 ① 내각책임제 ⭐ ② 양원제 실시 *양원제: 의회가 2개의 합의체로써 구성된 의회제도 2) 장면 내각 ① 대통령: 윤보선 / 국무총리: 장면 ② 실권은 국무총리가 지니고 있음. ③ 경제개발계획 마련 ④ 지방자치제 실시 ⑤ 부정선거 처벌에 대해 미온적 ⑥ 통일 운동 탄압 (2) 5.16 군사정.. 2023. 6. 26. [공시 기록] 한국사 : 6.25 전쟁과 남북 분단의 고착화 1. 6.25 전쟁 (1) 배경 1) 냉전 中 2) 애치슨 라인 ① 미국 국방부 장관인 애치슨이 주장 ② 미국의 극동방위선에서 한반도를 제외시켜 한국 전쟁의 발발 원인이 됨. (2) 전개 1) 전쟁 발발 [1950.6.25.] 2) 서울 함락 3)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 4) 인천상륙작전 [9.15.] 5) 중국군 개입 6) 1.4 후퇴 ⭐ 7) 정전회담 [1951.7. ~ 1953.7.] 8) 정전협정 체결 [1953.7.] ⇒ 이승만 정부의 불참 (이승만 정부는 북진 통일을 원함) *북진통일론: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통일을 이루겠다는 강경 노선 (3) 결과 1)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1953.10.] ⭐⭐ ↳ 삼백산업: 밀가루, 설탕, 면직물이 모두 흰색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2) 노근리 사건 : 미.. 2023. 6. 23. [공시 기록] 한국사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대한민국 정부수립 (1) 1948년: 5·10 총선거 실시 1) 남한 단독선거 2) 제주도 일부 제외 ① 제외된 2개 지역은 1년 후 국회의원 배출 ② 즉, 5·10 총선거 때 200명 중 198명 선발 ③ 4·3 항쟁으로 총선 실시 × 3) 최초 보통선거 4) 남북협상 불참(김구, 김규식 일파 등) (2) 제헌국회 ⇒ 헌법 공포 [1948.7.17.] 1) 대통령 중심제 2) 대통령의 임기는 4년, 2번 할 수 있음. (중임제) 3) 제헌국회 임기는 2년 4) 대통령을 국회에서 선출 (간선제) ⭐ *대통령: 이승만 / 부통령: 이시영 2. 제헌국회 활동 (1) 반민족처벌법 [1948. 9.] 1) 친일 청산 2) 반민 특위를 구성 : 조사권 · 기소권 부여 *반민특위: 반민족 행위 특별조사위원회 .. 2023. 6. 16. [공시 기록] 한국사 : 8.15 광복과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1. 광복과 정부 수립 (1) 1945년: 8.15 광복 (2) 1948년: 8.15 정부 수립 1) 조선건국동맹(여운형)이 조선건국준비위원회로 확대 2)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3) 미군 상륙 ↳ 맥아더 포고령 ① 미군이 직접 한반도를 통치하는 미군정 선포 ② 건국준비위원회,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불인정하여 한국인의 자주적 통치 활동 부정 2. 정치 조직 (1) 좌익: 남로당(박헌영) (2) 우익 1) 한국독립당(김구) 2) 독립촉성중앙회(이승만) 3) 한국민주당(김성수) (3) 중도 ⭐ 1) 중도좌파(여운형) 2) 중도우파(김규식) *좌익과 우익의 갈등을 중도가 중재해 줄 수 있음. 3. 정부 수립 노력 (1)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1945년 12월] ⇒ 한반도 문제 논의 1) 합의문 ① 한반도에 임시.. 2023. 5. 25.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