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화적 변화2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 (2) 1. 역사 연구 (1) 신채호 : 대한매일신보에 발표 ⇒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틀 마련 그 나라의 역사는 그 나라 민족이 써야 한다. 우리나라 여사는 우리 민족이 써야 한다. 우리나라 역사를 일본인, 중국인이 쓰면 안 된다! (2) 박은식 : 한국통사[1915년] 저술 → 나라는 형이요, 역사는 정신이다. 빼앗긴 나라는 정신만 살아있으면 언제든지 되찾을 수 있다. 2. 언론 (1) 한성순보 [1883년] 1)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2) 순 한문으로 쓰여 있음 3) 박문국(인쇄소)에서 제작 4) 한성주보 *갑신정변으로 인쇄기가 부서져 잠시 중단되었다가 갑신정변 이후 한성주보로 다시 만들어짐. ① 한성순보: 열흘에 한 번 간행 ② 한성주보: 일주일에 한 번 간행 (2) 독립신문(민간신문): 서재필 (3) 제국.. 2023. 4. 28.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1) 1. 평등 사회 (1) 갑신정변(14개조 개혁 정강) 1) 문벌 폐지 2) 인민평등권 확립 (2) 동학농민운동 : 신분제 폐지(공·사노비를 없애자!) (3) 독립협회 : 인권운동을 펼침 (4) 갑오개혁(1차) 1) 신분제 폐지 2) 청상과부의 재혼이 허가됨. 2. 여성단체⭐⭐ ⇒ 찬양회 1) 한국 최초의 여성 운동 단체 2) 독립협회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짐. 3) 북촌 부인들의 모임 4) 여권통문 발표 [1898년] ① 한국 최초의 여성인권선언서 ② 여성의 평등한 교육권 등 명시 5) 여학교를 세움 → 순성여학교(한국 최초의 순수사립여학교) 3. 교육 (1) 근대학교 설립 1) 원산학사[1883년] ① 최초의 근대학교 ② 덕원 주민들이 돈을 모아 만든 사립 근대 교육기구 2) 동문학[1883년] : 정.. 2023. 4.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