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경제적 변화

by IN×× 2023. 4. 26.

 

 

 

1. 개항 이후 경제

 

(1) 1876: 강화도조약(부산, 원산, 인천 개항)

 

1) 조일무역규칙 → 3(관세3 무 (무관세, 항세, 제한 쌀 유출)

2) 조일 수호 조규 부록: 간행 이정 10(개항장 범위를 정함)

 

(2) 1882: 임오군란

 

1)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청 상인들이 한성(서울)에서 장사할 수 있게 됨 ⇒ 내지통상권

 

2) 조일통상장정[1883]

내지 통상권 획득

최혜국대우 삽입

관세 일부 인정

방곡령 선포: 곡식 유출을 막을 수 있다는 규정

일본에게 1개월 전 통보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일본에 막대한 배상금을 내기도 함.

 

3) 상권수호운동 전개

1880년대: 상회사(주식회사) 대동상회, 장통회사

1890년대: 시전상인들이 조직을 만듦 황국중앙총상회 [1898]

 

 

2. 이권침탈

 

(1) 아관파천 시기, 박탈당한 이권들

: 독립협회에서 이권 수호 운동을 펼침

 

1) 러시아: 압록강, 울릉도 삼림채벌권 가져감

 

2) 미국: 금광 약탈

 

3) 일본: 철도 부설권을 가져감 철도를 부설하면서 그 지역 주변의 토지들을 약탈

 

경인선[1899]

: 서울과 인천(노량진 ~ 제물포)을 잇는 한국 최초의 철도

: 원래는 미국이 철도 부설권을 얻어 공사를 시작했으나, 일본에게 부설권을 넘겨 일본이 완공함.

경부선[1905]

: 서울과 부산을 잇는 철도

경의선 [1906]

: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철도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은 경부선, 경의선을 통해 대륙까지 진출하고자 함.

 

 

3. 화폐정리사업

 

(1) 1차 한일협약(고문 파견)

 

(2) 메가타(재정 고문)

화폐정리사업 진행[1905]

1) 전환국 폐지

*전환국: 조선말 화폐발행을 주관하던 관청

2) 백동화에서 일본제일은행권으로 교환

*백동화: 당시 우리나가 사용하던 화폐

 

*제대로 교환해주지 않음. 백동화를 갑, 을, 병, 기타로 구분하여 갑은 교환해 주고, 그 외 아래 백동화들은 교환해주지 않음

금융 자본 약탈

 

 

4. 경제 구국 운동

 

(1) 방곡령 선포

 

(2) 국채보상운동[1907]

 

1) 나라 빚 갚기 운동

 

2) 국권회복운동: 나라 빚 1,3001,300만 원을 갚고 국권을 회복하자!

대구(양기탁, 서상돈)에서 시작

서울(국채보상기성회) 모금운동 전개

언론사의 후원(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에서 광고)

통감부의 방해로 실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