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항 이후 경제
(1) 1876년: 강화도조약(부산, 원산, 인천 개항)
1) 조일무역규칙 → 3무(무관세3 무 (무관세, 무항세, 무제한 쌀 유출)
2) 조일 수호 조규 부록: 간행 이정 10리(개항장 범위를 정함)
(2) 1882년: 임오군란
1)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 청 상인들이 한성(서울)에서 장사할 수 있게 됨 ⇒ 내지통상권
2) 조일통상장정[1883년]
① 내지 통상권 획득
② 최혜국대우 삽입
③ 관세 일부 인정
④ 방곡령 선포: 곡식 유출을 막을 수 있다는 규정
→ 일본에게 1개월 전 통보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일본에 막대한 배상금을 내기도 함.
3) 상권수호운동 전개
① 1880년대: 상회사(주식회사) → 대동상회, 장통회사
② 1890년대: 시전상인들이 조직을 만듦 → 황국중앙총상회 [1898년]
2. 이권침탈
(1) 아관파천 시기, 박탈당한 이권들
: 독립협회에서 이권 수호 운동을 펼침
1) 러시아: 압록강, 울릉도 삼림채벌권 가져감
2) 미국: 금광 약탈
3) 일본: 철도 부설권을 가져감 → 철도를 부설하면서 그 지역 주변의 토지들을 약탈
① 경인선[1899년]
: 서울과 인천(노량진 ~ 제물포)을 잇는 한국 최초의 철도
: 원래는 미국이 철도 부설권을 얻어 공사를 시작했으나, 일본에게 부설권을 넘겨 일본이 완공함.
② 경부선[1905년]
: 서울과 부산을 잇는 철도
③ 경의선 [1906년]
: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철도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은 경부선, 경의선을 통해 대륙까지 진출하고자 함.
3. 화폐정리사업
(1) 1차 한일협약(고문 파견)
(2) 메가타(재정 고문)
⇒ 화폐정리사업 진행[1905년]
1) 전환국 폐지
*전환국: 조선말 화폐발행을 주관하던 관청
2) 백동화에서 일본제일은행권으로 교환
*백동화: 당시 우리나가 사용하던 화폐
*제대로 교환해주지 않음. 백동화를 갑, 을, 병, 기타로 구분하여 갑은 교환해 주고, 그 외 아래 백동화들은 교환해주지 않음
⇒ 금융 자본 약탈 ⭐
4. 경제 구국 운동
(1) 방곡령 선포
(2) 국채보상운동[1907년]
1) 나라 빚 갚기 운동
2) 국권회복운동: 나라 빚 1,3001,300만 원을 갚고 국권을 회복하자!
① 대구(양기탁, 서상돈)에서 시작
② 서울(국채보상기성회) ⇒ 모금운동 전개
↳ 언론사의 후원(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에서 광고)
③ 통감부의 방해로 실패
'공시 기록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 (2) (0) | 2023.04.28 |
---|---|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1) (0) | 2023.04.27 |
[공시 기록] 한국사 : 일본의 침략 확대와 국권수호운동 (0) | 2023.04.24 |
[공시 기록] 한국사 :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2) (0) | 2023.04.18 |
[공시 기록] 한국사 :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1) (0) | 2023.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