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일본의 침략 확대와 국권수호운동

by IN×× 2023. 4. 24.

 

 

 

1. 국권피탈

 

(1) 용암포 사건 ( 러일 전쟁 발발)

 

: 1903년 러시아가 용암포 및 압록강 하구를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한 사건

 

(2) 한일의정서 채택 (러일전쟁과 동시에)

 

: 1904년 일본이 조선 전 지역의 군사상 필요한 지역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체결한 외교 문서

 

1) 독립군 보장

2) 군사 기지

 

(3) 1차 한일협약

 

: 1904년 일본이 고문정치를 실시하기 위해 한국과 맺은 조약  고문 파견

 

< 고문 파견 >

1) 메가타(재정 고문)
2) 스티븐스(외교 고문) → 장인환, 정명운에 의해 죽임을 당함

 

(4) 을사늑약(=2차 한일협약) [1905]

 

1)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음 (외교권 ×)

2) 통감부 설치(이토 히로부미)

3) 황성신문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게재

4) 헤이그 특사

: 고종이 네덜란드의 헤이그에서 개최된 제2회 만국평화회에서 특사를 파견해 일제에 의해 강제 체결된 을사조약의 불법성을 폭로하고 한국의 주권 회복을 열강에게 호소한 외교 활동

이 사건으로 일본에 의해 고종 폐위

 

(5) 고종 강제 퇴위 [1907]

 

(6) 한일 신 협약(정미 7 조약)(정미7조약)

 

1) 차관정치: 일본인을 대한제국의 관리로 임명 (인사권 ×)(인사권×)

2) 군대해산 해산한 군인들을 의병 활동에 합류 (군대×)

 

(7) 기유각서 [1907] (사법권×)

 

(8) 경찰권 박탈 (경찰권×)

 

(9) 한일 병합 [1910] 조선총독부

* 이때부터 일제강점기

*안중근: 동양평화론

 

 

2. 의병 (위정척사운동의 발전)

 

(1) 1895: 을미의병

 

1)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

2) 단발령

3) 고종의 해산 권고 조칙으로 해산

 

(2) 1905: 을사의병

 

1) 을사늑약

 

2) 최익현

순창·태인에서 의병활동

쓰시마섬(대마도)에서 순국

 

3) 신돌석: 평민 의병장

 

(3) 1907: 정미의병

 

1) 한일 신협약으로 군대가 해산되면서 해산된 군인들이 의병에 합류 13도 창의군

2) 서울 진공작전 실패 후 호남 지방에서 의병활동이 크게 전개

3) 일본이 남한 대토벌 작전 의병 투쟁 끝

*만주·연해주 지방으로 옮겨서 무장투쟁으로 이어짐

 

 

3. 애국 계몽운동

 

: 교육과 산업을 부흥 시켜서 우리 민족이 잘 되면 자연스럽게 일본을 물리칠 수 있다!

 

(1) 사회진화론: 교육과 산업을 부흥시키자!

 

(2) 보안회: 일본의 황무지 개간 요구 저지 성공

 

(3) 헌정연구회: 우리나라 정치형태를 입헌군주제로 바꾸자라고 주장하는 모임

 

(4) 대한자강회 [1906]

 

1) 월보 간행

2) 지회 설치

3) 고종 강제 퇴위 반대 운동

 

(5) 대한협회

 

(6) 신민회 [1907]

 

1) 비밀 결사

 

2) 공화정 지지

 

3) 국내 활동: 교육과 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

대성학교(안창호), 오산학교(이승훈) 설립

② 태극서관(자기회사) 설립

 

4) 국외 활동

삼원보(무장 투쟁기지) 건설

경학사, 부민단과 같은 자치 조직(운영단체)

신흥강습소 신흥무관학교

 

105인 사건[1911]으로 신민회 국내 지부 약화

*105인 사건: 조선총독부가 민족해방운동을 탄압하기 위하여 마사타케 총독의 암살미수사건을 조작하여 105인의 독립운동가를 감옥에 가둔 사건

 

 

4. 영토

 

(1) 독도

러일전쟁 당시, 강제로 독도를 시마네 현으로 편입시킴

 

(2) 간도: 백두산 정계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