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by IN×× 2023. 5. 9.

 

 

 

1. 3·1 운동 이전 민족 운동

 

(1) 1910년대 국내 민족 운동

 

1) 채응언: 마지막 의병장

, 의병 투쟁이 있었음.

 

2) 독립의군부(전라도)

1912년 임병찬이 만듦.

고종의 명령에 의해 만듦.

복벽주의: 나라를 되찾고, 군주정을 회복하려는 사상

*군주정: 나라를 다스리는 군주가 대대로 세습되며 이루어지는 정치체계

조선 총독에게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 시도함.

 

3) 대한광복회(경상도 대구)

1915년 박상진, 김좌진 등이 만든 단체

공화정 주장

(국내 민족운동이지만) 해외독립기지를 만들고자 함

친일부호 처단

의연금 모금 활동

*의연금: 사회적 공익이나 자선을 위하여 내는 돈

 

 

2. 1910년대 국외 민족 운동

 

(1) 남만주·서간도

 

삼원보(신민회)

1) 경학사, 부민단: 한인들을 움직이는 조직

2) 신흥강습소 신흥무관학교

 

(2) 북간도

 

1) 명동학교, 서전서숙 : 민족교육

 

2) 중광단

서일(대종교 신자)이 만든 단체

북로군정서로 개편(김좌진)

 

(3) 연해주(신한촌)

 

1) 성명회·권업회 한인 조직 결성

 

2) 13도 의군 군대까지 만듦

 

3) 대한광복군 정부[1914년]

최초의 임시 정부

전로한족회, 중앙총회 등으로 개편되기도 함.

대한국민의회[1919]

상하이 임시 정부로 통합됨.

 

(4) 중국

 

1) 신한청년단(상하이)

2) 동제사(박은식)

 

(5) 미주

 

1) 대한인국민회 이승만, 박용만 주도

2) 대조선국민군단(박용만)

3) 숭무학교(멕시코)

 

 

3. 3·1 운동

 

(1) 배경

 

1)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주장

 

2) 2·8 독립선언(동경 유학생)

 

(2) 고종 인산일을 기점으로 일어남.

*인산일: 조선과 대한제국에서 왕이나 황제 직계 가족의 장례일(기일과 다름)

 

(3) 기미독립선언서(3·1독립선언서)  → 민족 대표 33인이 발표

 

1) 1919년 3·13·1 운동 때 발표된 한국(조선)의 독립을 세계만방에 알리기 위해 작성된 장문의 선언서

2) 독립선언서 초안 작성에 기여 최남선

3) 공약 3만해 한용운

 

(4) 도시에서 농촌으로 확산

 

1) 도시: 비폭력 투쟁

2) 농촌: 반일 투쟁의 성격이 강함

제암리 학살 사건: 19193·1운동 때 일본군이 경기도 화성에 있는 제암리 교회에서 주민들을 학살한 사건

 

(5) 유관순 열사의 죽음

 

(6) 결과

 

1) 문화통치

2) 임시 정부 수립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1) 통합

 

1) 전통성 문제: 한성정부

 

2) 위치 문제

만주·연해주

무력적인 항쟁을 통해 일본을 몰아내자! ()

상하이

세계 여러 나라와 외교적인 관계를 통해서 국권을 회복하자! (외교적)

 

만주·연해주와 상하이가 국내와 연락 문제를 두고 대립 후, 위치를 상하이로 결정!

 

3) 국내와 연락기구

교통국

연통제

 

(2) 활동

 

1) 참의부(군사), 독립신문 만듦.

 

2) 구미위원부: 미국과 합작하기 위해 미국에 설치

 

3) 대통령·국무총리 선출

대통령: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

 

4) 사료편찬소 한일관계 사료집

 

5) 임시 정부와 연결된 회사

백산상회(부산)

이륭양회(만주)

 

 

3. 임·정 위기

 

(1) 교통국·연통제 붕괴 임시 정부 고립

 

(2) 국민대표회의 [1923년]

: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상하이에서 열린 회의

 

1) 창조파(단재 신채호)

이승만의 국제연맹 위임 청원과 관련하여 이승만 비난

만주나 연해주로 옮겨 무력으로 하자!

 

2) 개조파(안창호)

개혁하여 계속 외교적 방향으로 가자!

 

3) 관망파(김구)

 

(3) 임시 정부 분열

 

(4) 이승만 탄핵 [1925] 박은식(2)

 

(5) 국무령 중심의 통치체제로 변경

 

*임시 정부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인애국단(김구)이 만들어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