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2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사회와 사상(1) 1. 고려 신분 (1) 지배계층 : 호족 → 문벌귀족 → 무신 → 권문세족 (2) 중류층⭐ 1) 서리: 중앙관청의 하급 관리 2) 남반: 궁중 실무 3) 향리: 속현 (3) 상민(백정): 신량역천 1) 신분은 양인인데, 직업이 천한 사람들 2) 대표적 민(특수행정구역; 향, 부곡, 소) ① 일반 군현민에 비해 차별 대우를 받음 : 세금을 더 많이 냄 : 이사를 갈 수도 없음 : 과거 시험 응시 불가 ② ‘소’들이 난을 일으킴 : 공주 명학소(망이·망소이의 난) ⇒ 이 후, 이들의 대한 차별대우 완화 (4) 천민(노비) 1) 공노비: 국가 혹은 관청 소속 2) 사노비: 개인 소유 3) 외거노비 ① 노비인데 밖에서 거주함 ② 대략적으로 지위는 백정농민과 비슷 ③ 재산을 가질 수 있고, 가정을 꾸릴 수 있음 .. 2023. 4. 2.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사회의 종교와 사상 1. 천신신앙 : 하늘을 중시 2. 불교 (1) 수용 : 불교는 왕권강화에 도움이 되는 종교 : 불교는 원래 자비와 평등을 중시 하였느나, 업·윤회 등을 강조시켜 신분을 정당화시키는 이론이 만들어졌음. 1) 고구려: 소수림왕 from 전진(중국) 2) 백제: 침류왕 from 동진(중국) 3) 신라: 법흥왕(불교 공인) from 고구려 (2) 교종 : 경전 연구를 통해 해탈할 수 있음. (3) 발해 1) 상경(도읍지)에 절터와 석등이 많이 출토 2) 대표적 불상: 이불병좌상 (4) 통일신라⭐ 1) 불교의 대표적인 문제점 ① 종파 대립(경전 가지고 싸움) ② 대중성이 떨어짐 2) 보완하려고 노력했던 고승 ① 원효 : 화쟁사상(일심) → 경전 가지고 싸우지 말자! : 아미타 신앙 → 나무아미타불(죽어서 부처 .. 2023. 3.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