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신신앙
: 하늘을 중시
2. 불교
(1) 수용
: 불교는 왕권강화에 도움이 되는 종교
: 불교는 원래 자비와 평등을 중시 하였느나, 업·윤회 등을 강조시켜 신분을 정당화시키는 이론이 만들어졌음.
1) 고구려: 소수림왕 from 전진(중국)
2) 백제: 침류왕 from 동진(중국)
3) 신라: 법흥왕(불교 공인) from 고구려
(2) 교종
: 경전 연구를 통해 해탈할 수 있음.
(3) 발해
1) 상경(도읍지)에 절터와 석등이 많이 출토
2) 대표적 불상: 이불병좌상
(4) 통일신라⭐
1) 불교의 대표적인 문제점
① 종파 대립(경전 가지고 싸움)
② 대중성이 떨어짐
2) 보완하려고 노력했던 고승
① 원효
: 화쟁사상(일심) → 경전 가지고 싸우지 말자!
: 아미타 신앙 → 나무아미타불(죽어서 부처 곁으로 가게 해달라는 염불)
: 무애가[家] (대중성 확보에 노력)
② 의상
: 당나라로 유학, 화엄경 공부
: 일즉다·다즉일 → 경전 가지고 싸우지 말자!
: 관음 신앙 → 관세음보살(살아서도 잘 살게 해 달라는 염불)
③ 혜초: 왕오천축국전(인도 다녀와서 쓴 기행문)
(5) 신라 하대
: 선종( ↔ 교종)
1) 참선 수행으로 해탈할 수 있는 것
2) 불립문자(문자가 필요 없음)
3) 민중의 지지를 얻고자 하는 호족(지방세력)들이 선종을 지원
4) 9산: 선종의 근거지는 총 9개가 있음
3. 유학
*유교는 반드시 학교를 동반
<유교를 강화하려는 이유>
① 기득권들이 자기의 세력을 지키고자 유학을 보급함
② 효와 충을 중시하는 유교
(1) 고구려: 태학, 경당
(2) 백제: 지방에 박사를 보냄
(3) 신라: 화랑도 운영
(4) 통일신라
1) 김대문
① 통일신라의 대표적 문장가
② 고승전, 계림잡전, 한산기 저술
2) 강수
① 대가야 출신, 6두품
② 골수 유학자
③ 외교문서에 특화
④ 불교를 엄청 싫어함
3) 설총
① 원효의 아들, 6두품
② 이두문자: 한자를 변형시킨 것
4) 최치원⭐
① 신라 하대 대표적 문장가
② 6두품
③ 문집(계원필경)
④ 관직에 있을 때,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조 개혁안을 올렸으나 반영되지 못함
5) 원성왕: 독서삼풍과 실시
*독서삼풍과: 책을 읽으면 관직을 주는 것
(5) 발해
1) 주자감(교육기관)
2) 빈공과
: 당나라에 치러지는 외국인 대상으로 했던 과거시험
3) 6부(충, 인, 의, 지, 예, 신)의 명칭을 유교적 명칭으로 두기도 함
4. 도교
: 신성 사상과 결합
: 전형적인 귀족 종교, 민중들이 싫어함
(1) 노장사상
1) 노자
① 옥황상제: 사람으로 태어나서 처음으로 신선이 되는 인물
② 무위자연: 자연을 거스리며 살지 않는 삶
2) 장자: 물아일체
(2) 유물
1) 고구려: 사신도(방위신)가 고분(무덤)에 그려져 있음
2) 백제: 산수무늬 벽돌, 금동대향로
3) 신라: 화랑도
5. 풍수지리설(신라 하대 때)
(1) 도선대사(선종의 스님)가 들여옴
(2) 호족들이 엄청 좋아함
(3) 민중의 지지를 얻음
<신라하대 때 유행했던 사상>
⇒ 선종 · 풍수지리설
* 호족들이 좋아함. 호족이 중심이 된 새로운 국가 ‘고려’의 탄생
'공시 기록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2) (0) | 2023.03.31 |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1) (0) | 2023.03.30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3) (0) | 2023.03.28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2) (0) | 2023.03.25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1)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