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사회의 종교와 사상

by IN×× 2023. 3. 29.

 

 

 

1. 천신신앙

 

: 하늘을 중시

 

 

2. 불교

 

(1) 수용

 

: 불교는 왕권강화에 도움이 되는 종교

: 불교는 원래 자비와 평등을 중시 하였느나, ·윤회 등을 강조시켜 신분을 정당화시키는 이론이 만들어졌음.

 

1) 고구려: 소수림왕 from 전진(중국)

2) 백제: 침류왕 from 동진(중국)

3) 신라: 법흥왕(불교 공인) from 고구려

 

(2) 교종

 

: 경전 연구를 통해 해탈할 수 있음.

 

(3) 발해

 

1) 상경(도읍지)에 절터와 석등이 많이 출토

2) 대표적 불상: 이불병좌상

 

(4) 통일신라

 

1) 불교의 대표적인 문제점

 

종파 대립(경전 가지고 싸움)

대중성이 떨어짐

 

2) 보완하려고 노력했던 고승

 

원효

: 화쟁사상(일심) 경전 가지고 싸우지 말자!

: 아미타 신앙 나무아미타불(죽어서 부처 곁으로 가게 해달라는 염불)

: 무애가[] (대중성 확보에 노력)

 

의상

: 당나라로 유학, 화엄경 공부

: 일즉다·다즉일 경전 가지고 싸우지 말자!

: 관음 신앙 관세음보살(살아서도 잘 살게 해 달라는 염불)

 

혜초: 왕오천축국전(인도 다녀와서 쓴 기행문)

 

(5) 신라 하대

 

: 선종( 교종)

 

1) 참선 수행으로 해탈할 수 있는 것

2) 불립문자(문자가 필요 없음)

3) 민중의 지지를 얻고자 하는 호족(지방세력)들이 선종을 지원

4) 9: 선종의 근거지는 총 9개가 있음

 

 

3. 유학

 

*유교는 반드시 학교를 동반

 

<유교를 강화하려는 이유>

① 기득권들이 자기의 세력을 지키고자 유학을 보급함
② 효와 충을 중시하는 유교

 

(1) 고구려: 태학, 경당

 

(2) 백제: 지방에 박사를 보냄

 

(3) 신라: 화랑도 운영

 

(4) 통일신라

 

1) 김대문

통일신라의 대표적 문장가

고승전, 계림잡전, 한산기 저술

 

2) 강수

대가야 출신, 6두품

골수 유학자

외교문서에 특화

불교를 엄청 싫어함

 

3) 설총

원효의 아들, 6두품

이두문자: 한자를 변형시킨 것

 

4) 최치원

신라 하대 대표적 문장가

6두품

문집(계원필경)

관직에 있을 때,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조 개혁안을 올렸으나 반영되지 못함

 

5) 원성왕: 독서삼풍과 실시

*독서삼풍과: 책을 읽으면 관직을 주는 것

 

(5) 발해

 

1) 주자감(교육기관)

 

2) 빈공과

: 당나라에 치러지는 외국인 대상으로 했던 과거시험

 

3) 6(, , , , , )의 명칭을 유교적 명칭으로 두기도 함

 

 

4. 도교

 

: 신성 사상과 결합

: 전형적인 귀족 종교, 민중들이 싫어함

 

(1) 노장사상

 

1) 노자

옥황상제: 사람으로 태어나서 처음으로 신선이 되는 인물

무위자연: 자연을 거스리며 살지 않는 삶

2) 장자: 물아일체

 

(2) 유물

 

1) 고구려: 사신도(방위신)가 고분(무덤)에 그려져 있음

2) 백제: 산수무늬 벽돌, 금동대향로

3) 신라: 화랑도

 

 

5. 풍수지리설(신라 하대 때)

 

(1) 도선대사(선종의 스님)가 들여옴

(2) 호족들이 엄청 좋아함

(3) 민중의 지지를 얻음

 

<신라하대 때 유행했던 사상>
⇒ 선종 · 풍수지리설

* 호족들이 좋아함. 호족이 중심이 된 새로운 국가 ‘고려’의 탄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