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2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 (2) 1. 역사 연구 (1) 신채호 : 대한매일신보에 발표 ⇒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틀 마련 그 나라의 역사는 그 나라 민족이 써야 한다. 우리나라 여사는 우리 민족이 써야 한다. 우리나라 역사를 일본인, 중국인이 쓰면 안 된다! (2) 박은식 : 한국통사[1915년] 저술 → 나라는 형이요, 역사는 정신이다. 빼앗긴 나라는 정신만 살아있으면 언제든지 되찾을 수 있다. 2. 언론 (1) 한성순보 [1883년] 1)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2) 순 한문으로 쓰여 있음 3) 박문국(인쇄소)에서 제작 4) 한성주보 *갑신정변으로 인쇄기가 부서져 잠시 중단되었다가 갑신정변 이후 한성주보로 다시 만들어짐. ① 한성순보: 열흘에 한 번 간행 ② 한성주보: 일주일에 한 번 간행 (2) 독립신문(민간신문): 서재필 (3) 제국.. 2023. 4. 28.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사회와 사상(2) 1. 성리학 →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해 소개 됨 ⇒ 신진사대부 2. 도교·풍수지리 (1) 도교: 복원궁(도교 사원) (2) 풍수지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에 영향 3. 과학기술 (1) 대장경(목판) 1) 초조 대장경 ① 거란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고 싶은 마음에 만든 대장경 ② 몽골이 초조 대장경 일부(81,000여장)를 불태움 2) 재조 대장경(팔만대장경) ① 초조 대장경을 다시 만든 것 ② 합천 해인사에 소장 중 (2) 금속활자⭐ 1) 상전고금예문 [1234년] : 현존하지 않음. 기록에만 남아 있음 2) 직지심체요절 [1377년] : 현재 프랑스에 있음 4. 문화·예술 (1) 청자→ 삼강청자 → 분청사기 1) 원 간섭기로 삼강청자 쇠퇴 2) 분청사기는 삼강청자보다 단순함 3) 분청사기는 조선.. 2023.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