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사회와 사상(2)

by IN×× 2023. 4. 3.

 

 

 

1. 성리학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해 소개 됨 신진사대부

 

 

2. 도교·풍수지리

 

(1) 도교: 복원궁(도교 사원)

(2) 풍수지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에 영향

 

 

3. 과학기술

 

(1) 대장경(목판)

 

1) 초조 대장경

거란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고 싶은 마음에 만든 대장경

몽골이 초조 대장경 일부(81,000여장)를 불태움

 

2) 재조 대장경(팔만대장경)

초조 대장경을 다시 만든 것

합천 해인사에 소장 중

 

(2) 금속활자

 

1) 상전고금예문 [1234] : 현존하지 않음. 기록에만 남아 있음

2) 직지심체요절 [1377] : 현재 프랑스에 있음

 

 

4. 문화·예술

 

(1) 청자삼강청자 분청사기

1) 원 간섭기로 삼강청자 쇠퇴

2) 분청사기는 삼강청자보다 단순함

3) 분청사기는 조선 초·중기까지 유행

 

(2)

1) 송나라의 영향 월정사 9층 석탑

2) 원나라의 영향 경천사 10층 석탑

3) 경천사 10층 석탑의 영향 ⇒ 원각사 10층 석탑

 

(3) 불상

1) 철불(하남 하사창동)

2) 석불(관촉사 석불)

3) 부석사 소조 아미타 여래좌상

: 통일신라의 양식을 계승한 대표적 불상

 

(4) 건축

 

*지붕 무게를 분산 시키기 위해 기둥 위에 짜임새(=공포)를 만듦

 

1) 주심포 양식

: 공포를 기둥 위에만 만든 건축 양식

: 대표- 부석사 무량수전,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

 

2) 다포 양식

: 기둥 상부 이외에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열한 건축 양식

: 대표- 석불사 응진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