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조선시대 세계관의 변화(1)

by IN×× 2023. 4. 5.

 

 

 

1. 조선 전기 정치 (왕의 업적을 중심으로)

 

(1) 태조(+ 정도전)

 

1) 법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2) 불씨잡변: 불교를 비판

3) 재상 중심의 통치제도를 두고자 함

이로 인해 태종과 마찰이 생김

왕자의 난 과정에서 정도전을 죽임

 

(2) 태종(태조의 5번째 아들)

 

1) 6조 직계제 실시

 

*6조 직계제: 조선시대 6조의 판서가 나랏일을 왕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한 제도
*의정부 서사제: 6조의 업무를 의정부를 거쳐 국왕에게 올라가게 한 제도

 

2) 사간원을 독립시켜 대신들을 견제함

3) 사평 철폐

4) 호패법

 

(3) 세종

 

1) 의정부서사제 실시

2) 집현적 확대·운영

3) 농사직설: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

4) 칠정산(역법)

*농사직설과 칠정산은 중국의 문화가 아닌 우리의 문화에 맞게 만듦.

 

(4) 세조

 

1) 6조직계제: 왕권 강화 정책

2) 집현전과 경연 폐지

*경연: 왕과 신하들이 모여서 학문을 토론하는 것

 

(5) 성종

 

1) 홍문관

왕의 자문기구

집현전을 대체

경연을 담당

 

2) 경국대전

조선 최고의 법전(행정법)

세조 때 만들기 시작해 성종 때 반포

영조 때 속대전 추가

정조 때 대전통편(경국대전+속대전)

 

3) 사림 등용

 

4) 국조오례의

나라의 5개 예법

갈례(제사가례(혼인빈례(사신접대군례(군사예절흉례(장례)

 

 

2. 통치제도

 

(1) 중앙

 

1) 6조직계제 / 의정부서사제

 

2) 부서

승정원: 왕의 비서실

의금부: 왕이 판사 역할을 하는 곳

춘추관: 역사서 편찬

삼사(권력을 견제하는 기구)

- 사간원: 정치를 비판하는 부서

- 사헌부: 감찰부서(감사원, 검찰)

- 홍문관(성종): 자문기구

 

(2) 지방

 

1) 전국을 8도로 나눔각 도마다 관찰사(도지사) 파견

2) 도는 부, , , 현으로 나누어짐 각 부, , , 현에 수령(지방관) 파견

*수령: 군사권, 행정권, 사법권을 가지고 있음

3) 향리: 수령을 보좌하는 집단 (이방, 예방, 호방 등)

4) 유향소: 지방 양반들의 모임으로 수령들을 견제하는 역할

 

(3) 군사

 

1) 보법(세조 때 만들어짐)

- 정군: 군대가는 사람들

- 보인: 군대를 안가는 대신 비용을 부담하는 사람들

 

2) 진관체제(지방군사조직)

: , , , 현 단위로 수령들이 직접 지휘함

 

(4) 교육

 

1) 성균관: 소과(과거1차시험) 급제자가 들어갈 수 있음

2) 향교: 지방

 

(5) 관리등용제도

 

1) 음서제도 실시

 

* 고려의 음서제도: 5품 이상 관료자제들에게 특혜
* 조선의 음서제도: 2품 이상 관료자제들에게 특혜. 단, 고관(고위관리)으로 승진하지 못함. 과거시험을 합격해야                                  고관으로 승진할 수 있음.

 

2) 과거 제도

 

문과

: 33명을 뽑음

: 1차시험(소과)에 합격하고, 2차시험(대과)에 합격해야 함.

: 3년에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식년시와 증광시, 별시, 정시, 알성시 등의 비정기 시험이 있음.

무과: 28명 뽑음

잡과(기술관 배출): 역관(통역사), 의관(의사) 등이 있음

 

3) 천거: 추천하여 임용하는 제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