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 전기 정치 (왕의 업적을 중심으로)
(1) 태조(+ 정도전)
1) 법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2) 불씨잡변: 불교를 비판
3) 재상 중심의 통치제도를 두고자 함
→ 이로 인해 태종과 마찰이 생김
→ 왕자의 난 과정에서 정도전을 죽임
(2) 태종(태조의 5번째 아들)
1) 6조 직계제 실시
*6조 직계제: 조선시대 6조의 판서가 나랏일을 왕에게 직접 보고하도록 한 제도
*의정부 서사제: 6조의 업무를 의정부를 거쳐 국왕에게 올라가게 한 제도
2) 사간원을 독립시켜 대신들을 견제함
3) 사평 철폐
4) 호패법
(3) 세종
1) 의정부서사제 실시
2) 집현적 확대·운영
3) 농사직설: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
4) 칠정산(역법)
*농사직설과 칠정산은 중국의 문화가 아닌 우리의 문화에 맞게 만듦.
(4) 세조
1) 6조직계제: 왕권 강화 정책
2) 집현전과 경연 폐지
*경연: 왕과 신하들이 모여서 학문을 토론하는 것
(5) 성종
1) 홍문관
① 왕의 자문기구
② 집현전을 대체
③ 경연을 담당
2) 경국대전⭐
① 조선 최고의 법전(행정법)
② 세조 때 만들기 시작해 성종 때 반포
③ 영조 때 속대전 추가
④ 정조 때 대전통편(경국대전+속대전)
3) 사림 등용
4) 국조오례의
① 나라의 5개 예법
② 갈례(제사)·가례(혼인)·빈례(사신접대)·군례(군사예절)·흉례(장례)
2. 통치제도
(1) 중앙
1) 6조직계제 / 의정부서사제
2) 부서
① 승정원: 왕의 비서실
② 의금부: 왕이 판사 역할을 하는 곳
③ 춘추관: 역사서 편찬
④ 삼사(권력을 견제하는 기구)
- 사간원: 정치를 비판하는 부서
- 사헌부: 감찰부서(감사원, 검찰)
- 홍문관(성종): 자문기구
(2) 지방
1) 전국을 8도로 나눔→ 각 도마다 관찰사(도지사) 파견
2) 도는 부, 목, 군, 현으로 나누어짐 → 각 부, 목, 군, 현에 수령(지방관) 파견
*수령: 군사권, 행정권, 사법권을 가지고 있음
3) 향리: 수령을 보좌하는 집단 (이방, 예방, 호방 등)
4) 유향소: 지방 양반들의 모임으로 수령들을 견제하는 역할
(3) 군사
1) 보법(세조 때 만들어짐)
- 정군: 군대가는 사람들
- 보인: 군대를 안가는 대신 비용을 부담하는 사람들
2) 진관체제(지방군사조직)
: 부, 목, 군, 현 단위로 수령들이 직접 지휘함
(4) 교육
1) 성균관: 소과(과거1차시험) 급제자가 들어갈 수 있음
2) 향교: 지방
(5) 관리등용제도
1) 음서제도 실시
* 고려의 음서제도: 5품 이상 관료자제들에게 특혜
* 조선의 음서제도: 2품 이상 관료자제들에게 특혜. 단, 고관(고위관리)으로 승진하지 못함. 과거시험을 합격해야 고관으로 승진할 수 있음.
2) 과거 제도
① 문과
: 33명을 뽑음
: 1차시험(소과)에 합격하고, 2차시험(대과)에 합격해야 함.
: 3년에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식년시와 증광시, 별시, 정시, 알성시 등의 비정기 시험이 있음.
② 무과: 28명 뽑음
③ 잡과(기술관 배출): 역관(통역사), 의관(의사) 등이 있음
3) 천거: 추천하여 임용하는 제도
'공시 기록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한국사 : 양반신분제 사회와 상품화폐 경제(1) (0) | 2023.04.10 |
---|---|
[공시 기록] 한국사 : 조선시대 세계관의 변화(2) (0) | 2023.04.06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사회와 사상(2) (0) | 2023.04.03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사회와 사상(1) (0) | 2023.04.02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2)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