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2)

by IN×× 2023. 3. 31.

 

 

 

1. 고려의 대외정책

 

(1) 거란(요나라)

 

1) 거란의 1차 침입: 서희(강동 6)

2) 거란의 2차 침입: 양규

3) 거란의 3차 침입

 강감찬이 귀주대첩에서 승리

 강감찬의 권유로 거란의 침입을 막기 위해 나성과 천리장성을 쌓음

 

(2) 여진(금나라)

 

1) 여진족일 때, 윤관이 특수부대인 별무반(기마대)를 데리고 여진족을 정벌  동북9성 축조

2) 여진족이 동북 9성을 돌려 달라고 요청

3) 고려가 돌려줌

4) 동북 9성을 기반으로 1년도 안돼서 여진족이 금나라를 만듦

5) 금나라가 고려에 군신관계를 요청

6) 고려가 받아들임

 

*받아들인 이유: 당시 집권자인 이자겸(왕의 장인어른)이 기득권 유지를 위해 받아들임

 

 

2. 문벌귀족

 

(1) 인종

 

1) 이자겸의 난 + 척춘경

 

2) 이자겸이 금나라와 군신관계를 맺어버림

 

3) 이자겸의 난은 진압

 

4) 이자겸 유배

 

5) 서경 세력이 주 세력으로 올라옴

 

6)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서경세력은 수도를 개경에서 서경으로 천도해서 고구려의 옛 영토를 되찾자고 주장함.

 풍수지리를 기반으로 함

 

7) 김부식(개경귀족) 등장

 

8) 묘청의 난

 독자적인 연호: 천개

 나라를 선포: 대위국

 

9) 김부식에 의해 진압

 

 

3. 무신정권(1170~1270년)

 

(1) 정중부

 

1) 무신정권을 개창

2) 중방(국가회의기구·권력기구)을 중심으로 권력을 유지하고, 국정을 돌봄

3) 경대승에 의해 사망

 

(2) 경대승

 

1) 도방(일종의 경호실)을 만듦.

2) 병으로 사망

 

(3) 이의민

 

1) 천민 출신 무장

2) 최충헌 일파에 의해 삼아

 

(4) 최충헌

 

1) 봉사 10조 개혁안을 올렸으나 시행되지 못함

2) 새로운 권력기구 교정도감을 둠.

 

(5) 최우: 정방(인사행정기구) 설치

 

 

⇒ 몽골의 침략으로 무신정권이 끝남

 

 

<최씨 무신정권>

최충천→최우→최항→최의 약 60여년 4대에 걸침

 

 

4. 몽골

 

(1) 몽골의 침입

 

1) 강화도로 천도(최우)

2) 처인성 전투 김윤후(승범)가 몽골군사령관 살리타를 죽임

 

(2) 개경 환도(1270)

: 삼벌초(항전 세력)  강화도~진도~제주도까지 넘어가면서 항전하였으나 모두 몰살

 

(3) 원 간섭기(몽골원나라)

1) 권문세족(친원 세력) 등장

2) 정동행성: 내정간섭기구

3) 공녀 징발: 고려의 여인들을 잡아감

4) 왕실 용어 및 관제 체계 등을 격하

 

(4) 명 교체기

1) 반원 자주 정책 시행

2) 신진사대부(성리학을 배운 지방세력들)를 중용

 

<공민왕의 반원자주정책>

① 권문세족 숙청
② 영토를 회복⭐
: 원나라가 고려에 쌍성총관부를 두고 통치하고 있던 철령이북을 공민왕이 공격하여 되찾음
③ 전민변정도감
: 억울하게 땅을 잃거나, 노비가 된 자들을 조사하여 다시 돌려주는 것
: 신돈 등용→ 개혁 정책
④ 정방 폐지

 

(5) 우왕·창왕·공양왕

 위화도 회군 이성계가 개경을 쳐버림 우왕 폐위  창왕 폐위  마지막 왕 공양왕 옹립 이성계 + 신진사대부가 힘을 합쳐 새로운 조선을 세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