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

by IN×× 2023. 4. 14.

 

 

 

 

 

<흥선대원군 섭정기 [1863~1873] >

 

1. 국내 정치

 

(1) 왕권강화를 위해 제도와 체계를 변화

 

1) 비변사 폐지

의정부 기능을 부활

상군부 부활

 

*상군부: 주요 군사 관계의 일을 논의하는 관청

 

2) 종친부(왕족 등용)

 

3) 위계질서를 위해 법전 정비

대전회통

육전조례

 

(2) 개혁 정치

 

1) 삼정 문란을 극복하고자 함

 

전정 양전사업 실시

: 소유권을 파악하는 사업

: 감춰진 토지를 색출하는 작업

 

군정 호포제 실시(양반 부과)

: () 단위로 군포를 징수하는 방법

 

환곡 사창제 실시 (환곡 개혁)

: 민간에게 위탁하기도 함

 

2) 서원 철폐 (647개소 47개소 인정)

 

3) 만동묘 철폐

 

*만동묘: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데 대한 보답으로 명나라 신종을 제사 지내기 위해 숙종 때 지은 사당

 

4) 경복궁 중건 (민심을 잃게 된 계기)

 

당백전

: 당시 통용되던 상평통보보다 100배의 가치를 지님

원납전

: 해서 부하는 세금이나, 공사비를 마련하기 위해 양반과 백성들에게 기부금 명목으로 돈을 걷음

4대문 통행세

무리한 동원

묘지림

: 양반들의 문중 선산에 있는 나무

: 경복궁 지을 때 모자란 나무를 충당하기 위해 양반 묘지림을 벌목함

 

 

2. 대외정치

 

(1) 이양선(서양배) 출몰

 

1) 청나라: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개항

2) 일본: 미국에 의해 개항

3) 연해주에 러시아가 들어옴

 

(2) 조선의 대응

 

1) 인박해: 천주교 박해, 프랑스 선교사도 학살

 

2) 너럴 셔먼호: 미상선이 조선에 통상을 요구하다가 대동강에서 불에 탄 사건

 

3) 인양요: 병인박해로 인해 프랑스가 강화도 침입

정족산성(양헌수) / 문수산성(한성근)

but, 강화도를 빼앗김. 강화도에 있던 외규장각 도서와 의궤를 약탈

*의궤: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기록

 

4) 페르트 도굴: 남연군의 묘를 도굴해서 남연군의 시신으로 교역을 하려고 함.

시도만 하고 실패

이를 계기로 서양에 대한 경계가 더욱 강화

 

5) 미양요: 제너럴셔먼호 사건으로 미국이 강화도 공격

광성보 전투(어재연)

but, 강화도를 빼앗김. 수자기 약탈해 감.

*수자기: 어재연 장군이 당시 광성보에 걸고 미국군대와 싸웠던 대형 깃발(장군기)

 

6) 척화비: 양인을 배척하기 위해 세운 석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