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 섭정기 [1863~1873년] >
1. 국내 정치
(1) 왕권강화를 위해 제도와 체계를 변화
1) 비변사 폐지⭐
① 의정부 기능을 부활
② 상군부 부활
*상군부: 주요 군사 관계의 일을 논의하는 관청
2) 종친부(왕족 등용)
3) 위계질서를 위해 법전 정비
① 대전회통
② 육전조례
(2) 개혁 정치
1) 삼정 문란을 극복하고자 함
① 전정 ⇒ 양전사업 실시
: 소유권을 파악하는 사업
: 감춰진 토지를 색출하는 작업
② 군정 ⇒ 호포제 실시(양반 부과)
: 호(戶) 단위로 군포를 징수하는 방법
③ 환곡 ⇒ 사창제 실시 (환곡 개혁)
: 민간에게 위탁하기도 함
2) 서원 철폐 (647개소 → 47개소 인정)
3) 만동묘 철폐
*만동묘: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데 대한 보답으로 명나라 신종을 제사 지내기 위해 숙종 때 지은 사당
4) 경복궁 중건 (민심을 잃게 된 계기)
① 당백전
: 당시 통용되던 상평통보보다 100배의 가치를 지님
② 원납전
: 원해서 납부하는 세금이나, 공사비를 마련하기 위해 양반과 백성들에게 기부금 명목으로 돈을 걷음
③ 4대문 통행세
④ 무리한 ‘역’ 동원
⑤ 묘지림
: 양반들의 문중 선산에 있는 나무
: 경복궁 지을 때 모자란 나무를 충당하기 위해 양반 묘지림을 벌목함
2. 대외정치
(1) 이양선(서양배) 출몰
1) 청나라: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개항
2) 일본: 미국에 의해 개항
3) 연해주에 러시아가 들어옴
(2) 조선의 대응
1) 병인박해: 천주교 박해, 프랑스 선교사도 학살
2) 제너럴 셔먼호: 미상선이 조선에 통상을 요구하다가 대동강에서 불에 탄 사건
3) 병인양요: 병인박해로 인해 프랑스가 강화도 침입
⇒ 정족산성(양헌수) / 문수산성(한성근)
→ but, 강화도를 빼앗김. 강화도에 있던 외규장각 도서와 의궤를 약탈
*의궤: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기록
4) 오페르트 도굴: 남연군의 묘를 도굴해서 남연군의 시신으로 교역을 하려고 함.
⇒ 시도만 하고 실패
⇒ 이를 계기로 서양에 대한 경계가 더욱 강화
5) 신미양요: 제너럴셔먼호 사건으로 미국이 강화도 공격
⇒ 광성보 전투(어재연)
→ but, 강화도를 빼앗김. 수자기 약탈해 감.
*수자기: 어재연 장군이 당시 광성보에 걸고 미국군대와 싸웠던 대형 깃발(장군기)
6) 척화비: 양인을 배척하기 위해 세운 석비
'공시 기록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한국사 :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1) (0) | 2023.04.17 |
---|---|
[공시 기록] 한국사 : 동아시아의 변화와 근대적 개혁의 추진 (0) | 2023.04.15 |
[공시 기록] 한국사 : 양반신분제 사회와 상품화폐 경제(2) (0) | 2023.04.13 |
[공시 기록] 한국사 : 양반신분제 사회와 상품화폐 경제(1) (0) | 2023.04.10 |
[공시 기록] 한국사 : 조선시대 세계관의 변화(2) (0)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