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양반신분제 사회와 상품화폐 경제(2)

by IN×× 2023. 4. 13.

 

 

 

1. 산업

 

(1) 농업: 이양법 (모내기법)

 

1) 노동력 감소

2) 생산량 증가

3) 이모작 가능(, 보리)

광작 경영 가능

부농 출현(신향으로 발전)

 

(2) 수공업 (조선 후기)

 

1) 민영수공업

 

2) 선대제 수공업

: 민간 수공업자들이 공인이나 상인에게서 주문과 함께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

 

3) 독립수공업

 

 

(3) 광산: 민영광산 설점수세제

 

*설점수세: 민영광산을 인정해주는 대신 세금을 징수한 광산 운영 정책

 

 

(4) 산업

 

1) 난전이 확대

 

*난전: 국가로부터 허가 받지 않은 점포

 

2) 금난전권을 시전에게 줌

시전 상인이 상권을 독점하기 위해 정부와 결탁하여 난전을 금지할 수 있었던 권리

시전상인들은 독점판매권을 바탕으로 부를 축적함

정조: 신해통공

 

*신해통공: 육의전을 제외한 일반시전이 소유하고 있던 금난전권을 폐지하여 비시전계 상인들의 활동을 용인한 상업정책

*육의전: 나라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던 여섯 종류의 큰 상점

 

 

2. 무역

 

공무역보다 사무역이 더 확장

대상인 등장

 

(1) 만상

: 의주 지방

: 대청 무역에 참여

 

(2) 송상

: 평양 지방

: 대표적 조선 후기 상인

: 인삼을 매개체로 함

 

(3) 시전상인, 난전

: 서울 지방

 

(4) 내상

: 부산 지방

: 대일 무역에 참여

 

(5) 선상

: 대표적 선상 경강상인

: 선박을 이용해서 각 지방의 물품을 구입해 포구에서 처분하는 상인

 

 

3. 세도 정치(19c)

 

(1) 세도정치

: 극소수의 권세가(안동김씨, 풍양조씨)를 중심으로 국가가 운영되던 정치 형태

 

(2) 비변사

 

1) 국정을 처리하는 중심 관서

2) 인사권·행정·경제·사회·정책 등 국정의 모든 부분 장악

3) 권력을 장악한 세도 가문이나 인사는 그들을 대표하거나 대리하는 소수 인물들을 통하여 비변사를 장악함으로써 국정 운영 방침을 뜻대로 결정

 

(3) 삼정 문란 (탐관 오리의 수탈이 많았음)

 

<삼정>

- 전정: 땅(토지)에 매기는 세금
- 군정: 군대 대신 군포로 대신하는 것
- 환정(환곡): 흉년이나 식량이 떨어진 춘궁기에 나라에서 곡식을 빌려주는 제도

 

(4) 매관매직: 돈이나 재물을 받고 벼슬을 시키는 것

 

(5) 민란

 

1) 홍경래의 난

평안도 지방(서북 지역) 지역적

1811년 순조 때

 

2) 진주민란

1860년대 철종 때

진주민란을 필두로 전국적으로 민란이 확산 임술 농민 봉기

 

 

4. 사상 (후기)

 

(1) 실학: 사회문제를 학문적으로 해결하려는 것

 

1) 중농

 

자영농을 육성하고, 농민에게 토지를 나눠주자고 주장

 

유형원 균전론 주장

: 반계수록 저술

: 직업적 차등 분배(사농공상)

 

이익 한전론 주장

: 영업전을 지급하여 이 토지는 매매할 수 없도록 하고, 그 밖의 토지는 매매를 허락하여 능력에 따른 토지 소유를 주장

*영업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토지, 절대로 매매 할 수 없음.

 

정약용 여전론 정전론 주장

-여전론: 공동으로 노력해서 공동으로 분배하자

-정전론: 일부 토지는 노동으로 수확하여 세금으로 납부, 기타 토지는 개인 소유

 

2) 중상

상공업을 육성하자고 주장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박제가>

: 수레, 선박을 많이 이용하자!
: 무역선을 파견하여 무역 거래를 하자!
소비 강조(우물물로 비유)

 

(2) 천주교

 

1) 서학이 종교화됨.

2) 제사를 지내지 않아 박해가 일어남 가장 대표적 박해: 신유박해

 

(3) 동학

: 최제우가 인내천(평등사상)을 주장하며 동학 창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