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4.19혁명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

by IN×× 2023. 6. 26.

 

 

 

1. 4.19혁명

 

(1) 3.15 부정선거 [1906]

: 자유당 정권에 의하여 대대적인 선거 부정행위가 자행되었던 제4대 대통령선거와 제5대 부통령 선거

 

(2) 전개

 

1) 대구 2.28 항쟁

2) 마산 의거 활동

경찰이 쏜 최루탄에 희생된 김주열 학생의 시신 발견

2차 마산 의거

3) 고려대 학생들의 시위

4) 교수 시국 선언

5) 이승만 하야

 

 

2. 민주화를 위한 노력

 

(1) 허정 과도 정부

 

1) 개헌

내각책임제

양원제 실시

*양원제: 의회가 2개의 합의체로써 구성된 의회제도

 

2) 장면 내각

대통령: 윤보선 / 국무총리: 장면

실권은 국무총리가 지니고 있음.

경제개발계획 마련

지방자치제 실시

부정선거 처벌에 대해 미온적

통일 운동 탄압

 

(2) 5.16 군사정변

 

1) 국가재건최고회의기구

2) 중앙정보부

3) 경제개발 5개년 실시

4) 부정선거자 처벌

5) 정치폭력배 처벌

 

(3) 대통령중심제 개헌(4×2)

 

(4) 박정희 정권

 

1) 1963: 대통령 박정희 당선

2) 1967: 대통령 박정희 당선

3) 1969: 3선 개헌 대통령의 3선 연임 허용 등

4) 1971: 대통령 박정희 당선 유신헌법 공포[1972.10.17.]

 

5) YH무역사건 [1979]

 

노동자들이 회사인 폐업 조치에 항의하여 당시 야당인 신민당(김영삼) 당사에서 농성을 벌이다가 노동자 1명이 추락사 하는 사건

 

김영삼

: 국회의원 박탈

: 가택연금

 

6) 부마항쟁

 

7) 10.26 사건

: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사건

후에 김재규는 10.26 사건을 지휘했던 전두환 보안사령관에게 처형 당함.

 

(4) 12.12 사태 (신군부 출현)

: 전두환, 노태우 등이 이끌던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중심의 신군부 세력이 일으킨 군사반란

 

1) 5.18 민주화 운동[1980년]

계엄군 vs. 시민군

국가비상대책위원회

전두환 대통령 당선

유신 폐지

개헌

: 대통령 중심(7)

: 대통령선거인단

 

2) 대통령직선제 요구 운동 활발

413 호헌조치 발표

: 대통령 전두환이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거부하고, 일체의 개헌 논의를 중단시킨 조치

19876월 민주항쟁

6.29 선언

9차 개헌

: 대통령 5년 단임제

: 국민 직선제

 

 

3. 기타 – 박정희 정권 관련

 

(1) 1965: 한일기본조약

일본과 국교 재개

(2) 1966: 브라운각서

베트남 전쟁에 국군을 파병하면서 미국 측과 파병에 대한 보상 조치로 맺은 각서

(3) 1968: 1.21 무장공비

향토 예비군제

국민교육헌장

 

(4) 유신 체제

 

1) 김대중 납치사건

 

2) 민청학련 사건

: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 공산주의적 인민혁명을 시도한다고 하여 학생과 사회인사들을 처벌했던 사건

 

3) 인민혁명당 사건

: 중앙정보부가 국가 변란을 목적으로 북한의 지령을 받는 지하조직을 결성했다고 발표하여 다수의 혁신계 인사와 언론인, 교수, 학생 등이 검거된 사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