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19혁명
(1) 3.15 부정선거 [1906년]
: 자유당 정권에 의하여 대대적인 선거 부정행위가 자행되었던 제4대 대통령선거와 제5대 부통령 선거
(2) 전개
1) 대구 2.28 항쟁
2) 마산 의거 활동
→ 경찰이 쏜 최루탄에 희생된 김주열 학생의 시신 발견
→ 2차 마산 의거
3) 고려대 학생들의 시위
4) 교수 시국 선언 ⭐
5) 이승만 하야
2. 민주화를 위한 노력
(1) 허정 과도 정부
1) 개헌
① 내각책임제 ⭐
② 양원제 실시
*양원제: 의회가 2개의 합의체로써 구성된 의회제도
2) 장면 내각
① 대통령: 윤보선 / 국무총리: 장면
② 실권은 국무총리가 지니고 있음.
③ 경제개발계획 마련
④ 지방자치제 실시
⑤ 부정선거 처벌에 대해 미온적
⑥ 통일 운동 탄압
(2) 5.16 군사정변
1) 국가재건최고회의기구
2) 중앙정보부
3) 경제개발 5개년 실시 ⭐
4) 부정선거자 처벌
5) 정치폭력배 처벌
(3) 대통령중심제 개헌(4년×2)
(4) 박정희 정권
1) 1963년: 대통령 박정희 당선
2) 1967년: 대통령 박정희 당선
3) 1969년: 3선 개헌 → 대통령의 3선 연임 허용 등
4) 1971년: 대통령 박정희 당선 → 유신헌법 공포[1972.10.17.]
5) YH무역사건 [1979년]
① 노동자들이 회사인 폐업 조치에 항의하여 당시 야당인 신민당(김영삼) 당사에서 농성을 벌이다가 노동자 1명이 추락사 하는 사건
② 김영삼
: 국회의원 박탈
: 가택연금
6) 부마항쟁
7) 10.26 사건
: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사건
→ 후에 김재규는 10.26 사건을 지휘했던 전두환 보안사령관에게 처형 당함.
(4) 12.12 사태 (신군부 출현)
: 전두환, 노태우 등이 이끌던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 세력이 일으킨 군사반란
1) 5.18 민주화 운동[1980년] ⭐
① 계엄군 vs. 시민군
② 국가비상대책위원회
③ 전두환 대통령 당선
④ 유신 폐지
⑤ 개헌
: 대통령 중심(7년)
: 대통령선거인단
2) 대통령직선제 요구 운동 활발
① 413 호헌조치 발표 ⭐
: 대통령 전두환이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거부하고, 일체의 개헌 논의를 중단시킨 조치
② 1987년 6월 민주항쟁
③ 6.29 선언
④ 9차 개헌 ⭐
: 대통령 5년 단임제
: 국민 직선제
3. 기타 – 박정희 정권 관련
(1) 1965년: 한일기본조약
→ 일본과 국교 재개
(2) 1966년: 브라운각서
→ 베트남 전쟁에 국군을 파병하면서 미국 측과 파병에 대한 보상 조치로 맺은 각서
(3) 1968년: 1.21 무장공비
→ 향토 예비군제
→ 국민교육헌장
(4) 유신 체제
1) 김대중 납치사건
2) 민청학련 사건
: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이 공산주의적 인민혁명을 시도한다고 하여 학생과 사회인사들을 처벌했던 사건
3) 인민혁명당 사건
: 중앙정보부가 ‘국가 변란을 목적으로 북한의 지령을 받는 지하조직을 결성했다’고 발표하여 다수의 혁신계 인사와 언론인, 교수, 학생 등이 검거된 사건
'공시 기록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한국사 : 6.25 전쟁과 남북 분단의 고착화 (0) | 2023.06.23 |
---|---|
[공시 기록] 한국사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0) | 2023.06.16 |
[공시 기록] 한국사 : 8.15 광복과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0) | 2023.05.25 |
[공시 기록] 한국사 : 광복을 위한 노력 (0) | 2023.05.24 |
[공시 기록] 한국사 : 전시동원체제와 민중의 삶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