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임시정부2

[공시 기록] 한국사 : 광복을 위한 노력 1. 광복을 위한 노력 (1) 1930년대: 한중연합작전 1)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미쓰야 협정으로 3부 통합이 됨. 2) 3부 통합 운동 ① 혁신의회(북만주): 지청천 ② 국민부(남만주): 양세봉 3) 만주사변 4) 한중연합 ⭐ ⇒ 혁신의회의 한국독립군과 국민부의 조선혁명군이 각자 중국 세력과 연합하여 항일 투쟁을 하게 됨. ① 한국독립군 + 호로군 ⇒ 쌍성봉, 대전자령 전투 ② 조선혁명군 + 의용군 ⇒ 영릉가, 흥경성 전투 (2) 동북항일연군 [1936년] : 중국에서 중국공산당 주도하에 항일연합전선을 형성한 일 1) 조국광복회로 개편 → 보천보 전투 [1937년] 2) 중국 관내(만리장성 안쪽)로 이동 *조국광복회는 이동하지 않고 버팀. 3) 중국 쪽으로 이동하여 민족혁명단 결성 ① 좌익, 우.. 2023. 5. 24.
[공시 기록] 한국사 :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1. 3·1 운동 이전 민족 운동 (1) 1910년대 국내 민족 운동 1) 채응언: 마지막 의병장 ⇒ 즉, 의병 투쟁이 있었음. 2) 독립의군부(전라도) ① 1912년 임병찬이 만듦. ② 고종의 명령에 의해 만듦. ↳ 복벽주의: 나라를 되찾고, 군주정을 회복하려는 사상 *군주정: 나라를 다스리는 군주가 대대로 세습되며 이루어지는 정치체계 ③ 조선 총독에게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 시도함. 3) 대한광복회(경상도 대구) ① 1915년 박상진, 김좌진 등이 만든 단체 ② 공화정 주장 ③ (국내 민족운동이지만) 해외독립기지를 만들고자 함 ↳ 친일부호 처단 ↳ 의연금 모금 활동 *의연금: 사회적 공익이나 자선을 위하여 내는 돈 2. 1910년대 국외 민족 운동 (1) 남만주·서간도 ⇒삼원보(신민회) 1) 경학사.. 2023.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