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2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사회와 사상(2) 1. 성리학 →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해 소개 됨 ⇒ 신진사대부 2. 도교·풍수지리 (1) 도교: 복원궁(도교 사원) (2) 풍수지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에 영향 3. 과학기술 (1) 대장경(목판) 1) 초조 대장경 ① 거란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고 싶은 마음에 만든 대장경 ② 몽골이 초조 대장경 일부(81,000여장)를 불태움 2) 재조 대장경(팔만대장경) ① 초조 대장경을 다시 만든 것 ② 합천 해인사에 소장 중 (2) 금속활자⭐ 1) 상전고금예문 [1234년] : 현존하지 않음. 기록에만 남아 있음 2) 직지심체요절 [1377년] : 현재 프랑스에 있음 4. 문화·예술 (1) 청자→ 삼강청자 → 분청사기 1) 원 간섭기로 삼강청자 쇠퇴 2) 분청사기는 삼강청자보다 단순함 3) 분청사기는 조선.. 2023. 4. 3.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사회의 종교와 사상 1. 천신신앙 : 하늘을 중시 2. 불교 (1) 수용 : 불교는 왕권강화에 도움이 되는 종교 : 불교는 원래 자비와 평등을 중시 하였느나, 업·윤회 등을 강조시켜 신분을 정당화시키는 이론이 만들어졌음. 1) 고구려: 소수림왕 from 전진(중국) 2) 백제: 침류왕 from 동진(중국) 3) 신라: 법흥왕(불교 공인) from 고구려 (2) 교종 : 경전 연구를 통해 해탈할 수 있음. (3) 발해 1) 상경(도읍지)에 절터와 석등이 많이 출토 2) 대표적 불상: 이불병좌상 (4) 통일신라⭐ 1) 불교의 대표적인 문제점 ① 종파 대립(경전 가지고 싸움) ② 대중성이 떨어짐 2) 보완하려고 노력했던 고승 ① 원효 : 화쟁사상(일심) → 경전 가지고 싸우지 말자! : 아미타 신앙 → 나무아미타불(죽어서 부처 .. 2023. 3.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