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4 [공시 기록] 한국사 : 광복을 위한 노력 1. 광복을 위한 노력 (1) 1930년대: 한중연합작전 1)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미쓰야 협정으로 3부 통합이 됨. 2) 3부 통합 운동 ① 혁신의회(북만주): 지청천 ② 국민부(남만주): 양세봉 3) 만주사변 4) 한중연합 ⭐ ⇒ 혁신의회의 한국독립군과 국민부의 조선혁명군이 각자 중국 세력과 연합하여 항일 투쟁을 하게 됨. ① 한국독립군 + 호로군 ⇒ 쌍성봉, 대전자령 전투 ② 조선혁명군 + 의용군 ⇒ 영릉가, 흥경성 전투 (2) 동북항일연군 [1936년] : 중국에서 중국공산당 주도하에 항일연합전선을 형성한 일 1) 조국광복회로 개편 → 보천보 전투 [1937년] 2) 중국 관내(만리장성 안쪽)로 이동 *조국광복회는 이동하지 않고 버팀. 3) 중국 쪽으로 이동하여 민족혁명단 결성 ① 좌익, 우.. 2023. 5. 24. [공시 기록] 한국사 : 전시동원체제와 민중의 삶 1. 전시동원체제 (1) 1931년: 만주사변 (2) 1937년: 중일전쟁 (3) 1941년: 태평양전쟁 2. 민족말살통치 (1) 시기별 정리 1) 1930년대 초반 ① 병참기지화 정책 : 한반도를 전쟁물자를 공급하는 곳으로 만드는 것 ② 남면북양 정책 : 한반도를 공업 원료를 공급하는 곳으로 만들기 위해 남쪽에는 면화를 재배하고, 북쪽에는 양을 사육하는 정책 실시 2) 1938년 ⭐ ⇒ 국가총동원법 :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통제하고 동원할 목적으로 제정한 법률 3) 1941년 ⇒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 1945년 ⇒ 해방 (2) 실시 1) 황국신민서사 암송 2) 궁성요배 3) 신사참배 강요 4) 창 씨 개명 5) 내선일체: 내지(일본 열도)와 조선은 한 몸이라는 뜻 .. 2023. 5. 23. [공시 기록] 한국사 : 사회 문화의 변화와 사회 운동 1. 일제 생활 – 철도 (1) 호남선 [1914년] (2) 경원선 [1914년] (3) 함경선 [1928년] 2. 사회운동 (1) 소년운동: 방정환(어린이날 제정) (2) 여성운동 1) 여성 동우회 2) 근우회 [1927년] ⭐ ① 김활란 ② 신간회 자매단체 ③ 민족유일당 운동 (3) 형평운동 ⭐ 1) 1923년 진주에서 일어남. 2) 조선 형평사를 만들어서 백정의 지휘 향상을 꾀함. 3. 국학운동 (1) 국어 연구 1) 1921년: 조선어 연구회 ① 가갸날: 한글날의 처음 이름 ② 잡지 2) 1931년: 조선어학회 ① 표준어, 맞춤법, 외래어 표기 ② “우리말 큰사전” 편찬하고자 함. ⇒ 실패 ③ 1942년: 치안유지법으로 탄압 ⇒ 해산 (2) 국사 연구 1) 식민사관 : 조선의 사람, 역사, 문화가.. 2023. 5. 18. [공시 기록] 한국사 : 다양한 민족 운동의 전개 1. 1920년대 무장독립투쟁 (1) 봉오동전투(대한독립군, 홍범도) ↓ 훈춘사건: 1920년 일본군이 마적 토벌을 구실 삼아 훈춘의 조선인과 독립운동가들을 대량 학살한 사건 (2) 청산리대첩(북로군정서, 김좌진) ↓ 간도참변: 1920년 간도에서 한국인들이 일본군에 의하여 무차별 학살 당한 사건 ↓ 자유시참변(적색군 배신): 1921년 붉은 군대의 통수권 접수를 거부한 한인 망명 독립군들이 포위 진압된 사건 *통수권(=군영권): 군의 최고사령관으로서 군을 지휘·통솔하는 권한 (3) 3부 성립 1) 참의부 [1923년] 2) 정의부 [1924년] 3) 신민부 [1925년] (4) 미쓰야 협정 [1925년] 1) 일본과 중국이 체결한 협약 2) 만주에서 활약하는 독립군을 체포하여 일본에게 넘길 것 3) 이.. 2023. 5. 16. 이전 1 2 3 4 5 6 7 8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