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 이론문법 | 음운론(소리) | + α |
형태론(단어) | |||
통사론(문장) | |||
어문규정 | 한글맞춤법 | ||
표준발음법 | |||
표준어사정원칙 |
1. 교체(대치), 탈락, 첨가, 축약
2. 음절의 끝소리 규칙
: ㄱ,ㄴ,ㄷ,ㄹ,ㅁ,ㅂ,ㅇ만 발음됨
: 앞 말에 자음(받침)이 오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오면 앞 말의 받침을 그냥 올리면 됨.
: 앞 말에 자음이 오고,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오면 앞 말을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적용한 뒤에 올리면 됨.
* 형식형태소: 뜻이나 의미가 없음.
* 실질형태소: 뜻이나 의미가 있음.
: 예외적으로 ‘맛있다’, ‘멋있다’는 ‘마싣따/마딛따’, ‘머싣따/머딛따’ 2가지로 발음됨.
: 받침 ‘ㅅ’을 올릴 때는 ‘ㅆ’으로 바꿔서 올려야 함.
: 자음군 단순화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아님.
자음군 단순화는 탈락 현상이고,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교체’ 현상
< 자음군 단순화 예외 >
1) ‘ㄹㅂ’일 땐, 원칙적으로 ‘ㄹ’이 남음. 예외적으로 ‘ㅂ’이 남을 때는
ㄱ) ‘밟-’ + 자음(ㅎ 제외) = q
ㄴ)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하다’는 ‘넙쭉카다’, ‘넙둥끌다’, ‘넙쩌카다’로 발음됨.
2) ‘ㄹㄱ’일 땐, 원칙적으로 ‘ㄱ’이 남음. 예외적으로 ‘ㄹ’이 남을 때는
→ 용언 어간말음 ‘ㄹㄱ’ + ‘ㄱ’ 어미 = ㄹ
(해석)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말음(받침) ‘ㄹㄱ’ + ‘ㄱ’ = ㄹ
3. 사잇소리 현상 (초빈출영역⭐)
(1단계) 사잇소리 공식 4가지
※ 대전제: 결합하는 말
① 촛불(초+불→초뿔/촏뿔)
: 결합하는 말에서 앞 말이 울림소리로 끝나고, 뒷말이 안울림소리로 시작 될 때, 예사소리가 된소리가 되는 현상
* 울림소리: ㄴ,ㄹ,ㅇ,ㅁ과 모음(100%)
* 안울림소리: ㄴ,ㄹ,ㅇ,ㅁ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
* 예사소리: 일반적인 예라고 생각하면 됨
② 잇몸(이+몸→인몸)
: 결합하는 말에서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ㄴ,ㅁ으로 시작될 때, 앞 말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
③ 논일(논+일→노닐)
: 결합하는 말에서 앞 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 또는 반모음 ‘ㅣ’로 시작할 때, 뒤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
④ 깻잎(깨+잎→깬닙)
: 결합하는 말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 또는 반모음 ‘ㅣ’로 시작할 때, 앞뒤로 ‘ㄴ’이 두 번 들어가는 현상
(2단계) 사잇소리 현상의 예외
: 발음 먼저 해보기(역추론하기)
: 사잇소리는 ‘수의적 현상’ 이다.
*수의적 현상: 조건이 맞아도 일어날 때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때도 있는 현상
↕
*필수적 현상: 조건이 맞으면 100% 일어나는 현상
※ 사잇소리 예외 단어들: 참기름, 인사말, 머리말, 유리잔, 고래기름, 은돈, 말방울, 기와집, 콩밥, 고무줄, 회수
(3단계) 한자어의 사잇소리
: 둘다 한자어일 때, (사잇소리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라도) 사잇소리는 일어나지 않는다!
※ 6개 예외: 숫자, 찻간, 곳간, 셋방, 횟수, 툇간
'공시 기록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4) 어문규정 (0) | 2023.03.09 |
---|---|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3) 통사론 (0) | 2023.03.08 |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2) 형태론 (0) | 2023.03.07 |
[공시 기록] 국어 : 문학 편 (2) 소설 영역 (0) | 2023.03.02 |
[공시 기록] 국어 : 문학 편 (1) 시 영역 (0) | 2023.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