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 이론문법 | 음운론(소리) | + α |
형태론(단어) | |||
통사론(문장) | |||
어문규정 | 한글맞춤법 | ||
표준발음법 | |||
표준어사정원칙 |
1. 합성어
: 뭔가가 합쳐진 단어
(1) 통사적 합성어
: 뭔가가 합쳐질 때, 우리나라의 문장구성방식과 문법구성방식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
: 정상적인 모습으로 결합
(2) 비통사적 합성어
: 뭔가가 합쳐질 때, 우리나라의 문장구성방식과 문법구성방식과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결합하는 것
: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결합
<비통사적 합성어 공식-4가지>
① 용언 + 체언
: 앞말의 어간 부분을 잘라서 뒷말의 체언에 막 바로 붙일 때
*용언: 동사·형용사
*체언: 명사·대명사·수사
② 용언 + 용언
: 앞에 오는 용언의 어간 부분을 막 바로 오는 용언에 붙일 때
③ 부사 + 체언
ex) 부슬비, 헐떡고개, 산들바람, 척척박사
*이 예들은 선택지에서 자주 등장하니 숙지할 것
④ 한자어 어순
※ 이 4가지에 해당하지 않으면 통사적 합성어라고 생각하면 됨!
1) 체언 + 용언 = 100% 통사 2) 같은 품사끼리의 결합 = 99% 통사 ex) 체언 + 체언, 대명사 + 대명사, 감탄사 + 감탄사, 관형사 + 관형사 등 *용언 + 용언은 비통사적 합성어 공식이므로 주의해야 함 (그래서 99%) |
2.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기준
(1) 동사 : 동작과 관련
(2) 형용사 : 상태와 관련
<동사와 형용사 구분하는 주요 공식 – 2가지>
① 기본형→현재형 (기본형을 현재형으로 바꿔보자!)
: 동사는 기본형에서 현재형으로 바뀔 때 ‘ㄴ’ 또는 ‘–는’이 붙는다.
: 형용사는 기본형과 현재형이 같다.
*기본형: 사전에 올라가는 형태
② 기본형→현재 관형사형
: 기본형에서 현재 관형사형으로 바뀔 때 동사는 ‘-는’을 붙이고,
: 형용사는 ‘ㄴ’이나 ‘-은’을 붙인다.
*현재 관형사형: 시제는 현재이면서 명사를 꾸며주는 느낌
※ ‘있다’는 동사와 형용사 둘 다이지만, ‘없다’는 형용사이다!
3. ‘사’와 ‘어’의 차이
(1) 사 : 고향, 본질
(2) 어 : 문장 속 역할
4. 규칙활용과 불규칙활용
(1) 규칙활용 : 튀지 않고 남들 변하는 것처럼 변하는 활용
(2) 불규칙활용 : 남들 변하는 것처럼 변하지 않고 튀는 활용
불 규 칙 활 용 |
어간 불규칙 | ‘ㅅ’ 불규칙 (ㅅ 탈락) |
|
‘ㄷ’ 불규칙 (ㄷ→ㄹ) |
|||
‘ㅂ’ 불규칙 (ㅂ→ㅗ/ㅜ) |
|||
‘르’ 불규칙 (르→ㄹㄹ) |
|||
‘우’ 불규칙 (ㅜ→ㅓ) |
ex) 푸다, 푸고, 푸르니, 퍼서(푸어서×) | ||
어미 불규칙 | ‘여’ 불규칙 | ex) 하다, 하고, 하니, 하여서(하아서×) | |
‘러’ 불규칙 | |||
‘너라’불규칙 (폐지됨) |
오거라(○), 오너라(○) | ||
‘오’ 불규칙 | ex) 달아라(×) → 다오(○) *달다: 가지고 오라는 뜻 ※ 보기에는 어간, 어미가 둘다 바뀐 것 같지만, 어간의 ‘ㄹ’이 떨어지는 것(ㄹ 탈락)은 규칙으로 인정하여 “어간+어미 불규칙”이 아닌 “어미 불규칙”이다! |
||
어간+어미 불규칙 | ‘ㅎ’ 불규칙 |
'공시 기록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4) 어문규정 (0) | 2023.03.09 |
---|---|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3) 통사론 (0) | 2023.03.08 |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1) 음운론 (0) | 2023.03.05 |
[공시 기록] 국어 : 문학 편 (2) 소설 영역 (0) | 2023.03.02 |
[공시 기록] 국어 : 문학 편 (1) 시 영역 (0) | 2023.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