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유법
① 직유법
: ~처럼, ~같이(같은), ~인양, ~인 듯
② 은유법
: A는 B다
→ ‘A는 B다’라는 형식이 아니더라도 ‘A는 B다’라고 환원시킬 수 있다면 은유법!
③ 의인법
: 사람이 아닌 것이 사람만 할 수 있는 행동을 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
④ 활유법
: 무생물에게 생명을 후~하고 불어주는 것
: 사람을 식물이나 동물처럼 표현하는 것도 포함
* 활유법과 의인법 구별에 주의할 것! 시에서의 맥락으로 활유법인지 의인법인지 구별
⑤ 대유법
: 전체를 대신해서 비유하는 것
→ 대유법의 하위 범주로는 제유법과 환유법이 있다.
※ 비유법에는 이 5가지가 포함된다는 것을 기억하기!
2. 변화법
① 반어법
: 마음 속 생각과 입 밖으로 나온 말이 서로 반대일 때
: 표면적으로 맞는 것 같으나, 내면적으로 맞지 않는 것
② 역설법
: 표면적으로 맞지 않으나, 내면적으로 맞는 것
* 반어법과 헷갈림 주의
③ 도치법
: 강조와 관련하여 사용
④ 대구법⭐
: 짜임이 비슷한 문장이 서로 짝을 이뤄 나열된 문장 (바로 짝을 이뤄야 함)
⑤ 설의법
: 대답이 필요없는 질문
⑥ 돈호법
: 사람을 부르는 것
: 사람이 아닌 것을 부를 때는 돈호법과 의인법이 같이 사용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됨.
⑦ 생략법
: 여운의 효과를 위해 사용
⑧ 연쇄법
: 말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짐
⑨ 시적 허용
: 시인이 시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일부로 맞춤법을 어기는 것
※ 각각의 개념만 이해하고 있으면 됨!
(3) 강조법
① 반복법⭐ (* 대구법과 헷갈리지 말기)
: 시에서 위치 상관없이 2번 이상 나오는 것
: 은율과 강조의 효과가 있음.
→ 수미상관
- 위와 아래가 꼭 똑같을 필요 없음. 같거나 비슷하면 됨.
- 시인이 맞추려고 한 의도가 있으면 됨.
- 은율, 강조, 안정감의 효과가 있음.
② 영탄법
: 느낌표(!) 가 있음
: 아, 우, 아이구 등의 감탄사
: 감탄형 어미(~노라, ~구나, ~아라, ~어라)
③ 점층법 (↔점강법)
: 점점 커지는 것
④ 열거법
: 기준점을 잡고 열거하는 것
* 반복법과 구별 주의
⑤ 과장법
: 실제보다 부풀리거나 축소시키는 것
(4) 시적발상
① 감정이입법
→ 객관적 상관물
: 화자의 정서와 일치하는 개념
: 화자의 정서와 대비됨으로써 화자의 정서를 부각시키는 개념
②주객전도
(5) 심상 (이미지)
① 시각적 심상
② 청각적 심상
③ 촉각적 심상
④ 후각적 심상
⑤ 미각적 심상
⑥ 공감각적 심상(=감각의 전이)
⑦ 복합감각적 심상
: 단순히 2개 이상의 심상을 나열한 것
(6) 문학작품 접근 방법 (감상법)
① 내재적 접근(절대론)
: 안에 있는 것을 가지고 감상
: 작품으로만 접근
② 외재적 접근
- 표현론: 작가에 대한 배경지식
- 반영론: 시대에 대한 배경지식
- 효용론(수용론): 독자가 무엇을 얻거나, 받아들이느냐
- 상호텍스트적 접근: 다른 작품과의 비교·감상
'공시 기록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4) 어문규정 (0) | 2023.03.09 |
---|---|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3) 통사론 (0) | 2023.03.08 |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2) 형태론 (0) | 2023.03.07 |
[공시 기록] 국어 : 문법 편 (1) 음운론 (0) | 2023.03.05 |
[공시 기록] 국어 : 문학 편 (2) 소설 영역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