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국어

[공시 기록] 국어 : 문학 편 (1) 시 영역

by IN×× 2023. 3. 1.

 

(1) 비유법

 

직유법

: ~처럼, ~같이(같은), ~인양, ~인 듯

 

은유법

: AB

‘AB라는 형식이 아니더라도 ‘AB라고 환원시킬 수 있다면 은유법!

 

의인법

: 사람이 아닌 것이 사람만 할 수 있는 행동을 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

 

활유법

: 무생물에게 생명을 후~하고 불어주는 것

: 사람을 식물이나 동물처럼 표현하는 것도 포함

* 활유법과 의인법 구별에 주의할 것! 시에서의 맥락으로 활유법인지 의인법인지 구별

 

대유법

: 전체를 신해서 비하는 것

대유법의 하위 범주로는 제유법환유법이 있다.

 

 

※ 비유법에는 이 5가지가 포함된다는 것을 기억하기!

 

 

2. 변화법

 

반어법

: 마음 속 생각과 입 밖으로 나온 말이 서로 반대일 때

: 표면적으로 맞는 것 같으나, 내면적으로 맞지 않는 것

 

역설법

: 표면적으로 맞지 않으나, 내면적으로 맞는 것

* 반어법과 헷갈림 주의

 

도치법

: 강조와 관련하여 사용

 

대구법

: 짜임이 비슷한 문장이 서로 짝을 이뤄 나열된 문장 (바로 짝을 이뤄야 함)

 

설의법

: 대답이 필요없는 질문

 

돈호법

: 사람을 부르는 것

: 사람이 아닌 것을 부를 때는 돈호법과 의인법이 같이 사용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됨.

 

생략법

: 여운의 효과를 위해 사용

 

연쇄법

: 말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짐

 

시적 허용

: 시인이 시에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일부로 맞춤법을 어기는 것

 

 

※ 각각의 개념만 이해하고 있으면 됨!

 

 

(3) 강조법

 

반복법⭐ (* 대구법과 헷갈리지 말기)

: 시에서 위치 상관없이 2번 이상 나오는 것

: 은율강조의 효과가 있음.

수미상관

 - 위와 아래가 꼭 똑같을 필요 없음. 같거나 비슷하면 됨.

 - 시인이 맞추려고 한 의도가 있으면 됨.

 - 은율, 강조, 안정감의 효과가 있음.

 

영탄법

: 느낌표(!) 가 있음

: , , 아이구 등의 감탄사

: 감탄형 어미(~노라, ~구나, ~아라, ~어라)

 

점층법 (점강법)

: 점점 커지는 것

 

열거법

: 기준점을 잡고 열거하는 것

* 반복법과 구별 주의

 

과장법

: 실제보다 부풀리거나 축소시키는 것

 

 

(4) 시적발상

 

감정이입법

객관적 상관물

 : 화자의 정서와 일치하는 개념

 : 화자의 정서와 대비됨으로써 화자의 정서를 부각시키는 개념

 

주객전도

 

 

(5) 심상 (이미지)

 

시각적 심상

청각적 심상

촉각적 심상

후각적 심상

미각적 심상

공감각적 심상(=감각의 전이)

복합감각적 심상

: 단순히 2개 이상의 심상을 나열한 것

 

(6) 문학작품 접근 방법 (감상법)

 

내재적 접근(절대론)

: 안에 있는 것을 가지고 감상

: 작품으로만 접근

 

외재적 접근

 - 표현론: 작가에 대한 배경지식

 - 반영론: 시대에 대한 배경지식

 - 효용론(수용론): 독자가 무엇을 얻거나, 받아들이느냐

 - 상호텍스트적 접근: 다른 작품과의 비교·감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