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국통일
(1) 수나라
: 고구려 → 을지문덕(살수대첩) [612년]
< 천리장성>
: 건축 과정에서 쿠데타가 일어남. 쿠데타 과정에서 고구려의 ‘연개소문’ 등장
(2) 당나라
1) 고구려: 안시성 [645년]
2) 나당동맹
3) 백제 멸망 [660년] : 멸망 후 부흥 운동이 일어났으나 백강전투[663년]를 마지막으로 끝이 남.
4) 고구려 멸망 [668년] : 신라가 고구려의 부흥 운동을 지원함.
5) 나당 전쟁을 통해 삼국통일 완성
* 나당 전쟁의 대표적 전투: 매소성 · 기벌포 전투
2. 남북국(삼국통일이 된 이후)
* 남쪽에는 통일신라, 북쪽에는 발해가 있던 시기
(1) 통일신라
1) 무열왕
① 진골 출신: 최초의 진골 출신임. 기존에는 성골들이 왕위 계승을 하였음.
② 백제를 멸망시키는 주역
2) 문무왕: 삼국통일 완성
3) 신문왕 ⭐
① 9주 5소경
: 전국을 9개로 나누고, 작은 중심지 5개를 둠.
② 9서당 10정
: 9서당은 수도를 방어하는 중앙군
: 10정은 지방군
③ 국학
: 유교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
④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관료전: 관료들의 급여를 수조권으로 지급함.
*수조권: 조세를 거둘 수 있는 권리. 본래 수조권은 국가가 가지고 있어야 하나, 관료들에게 넘겨버림. 단, 토지소유권 등 소유권을 관료들에게 준 것은 아님.
*녹읍: 역(노동력)을 지급하는 것
4) 신라하대(삼국통일 말)
① 왕권다툼↑ ⇒ 중앙집권↓, 지방권력↑
② 지방세력(호족)의 등장
: 후백제(견훤)
: 후고구려(궁예)
(2) 발해(대조영)
<발해가 중국의 역사가 아닌 우리의 역사인 이유>
①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우리의 역사이다!
② 지배층의 다수가 고구려인이다!
③ 발해는 발해만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예) 인안, 대흥
1) 무왕(인왕 / 8c)
① 대조영의 아들
② 신라와 당나라에 대한 대외적인 강경책을 사용
→ 당나라의 산둥 지방을 선제공격함.
2) 문왕(대흥 / 8c)
: 당과 신라와 교류
① 당: 상경성 모방, 3성6부(정당성 위주) 수용
*3성6부: 당나라의 중앙정치제도
② 신라: 신라도(신라로 가는 길을 만듦)
3) 선왕(9c)
① 해동성국(전성기)
② 5경 15부 62주 → 지방 행정제도 완비
⇒ 발해는 거란에 의해 멸망
'공시 기록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2) (0) | 2023.03.31 |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1) (0) | 2023.03.30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사회의 종교와 사상 (0) | 2023.03.29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2) (0) | 2023.03.25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1)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