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가>
1. 고구려(주몽)
(1) 고국천 (2c)
1) 진대법 실시
2) 부족적 성격의 5부를 행적적 성격의 5부로 바꿈.
(2) 소수림왕 (4c)
1) 무너져가는 고구려를 부활시킴
2)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수용
3) 태학을 설립
4) 율령을 반포
(3) 광개토대왕 (5c)
1) 신라에 쳐들어온 왜구를 소탕해줌
2) 한강의 이북지역(백제)을 확보하기도 함
3) 금관가야를 공격함.
(4) 장수왕 (5c)
1) 평양으로 천도
2)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공격
→ 한강에서 충주 지역까지 차지함
2. 백제
(1) 고이왕 (3c)
1) 한강 유역을 장악해 영토를 넓힘
2) 율령을 반포
3) 관등(관직등급)
4) 관복: 관직에 따라 옷의 색깔을 다르게 두는 것
(2) 근초고왕 (4c)
1) 중국(요서, 산둥, 동진)으로 진출
2) 일본(규슈)까지 진출
3) 평양(고구려 영토)까지 진출
(3) 개로왕 (5c)
1) 장수왕에게 죽임을 당함
2) 백제는 한강 유역을 잃고 웅진으로 천도
(4) 동성왕 (5c)
: 나제동맹 강화
(5) 무령왕 (6c)
: 지방을 통제하기 위해 22담로 설치
(6) 성왕 (6c)
1) 사비로 천도
2) 백제를 남부여로 명칭을 바꿈
3) 신라 진흥왕과 나제동맹을 강화하여 고구려 공격
→ 한강 지역을 일시적으로 차지하였으나
→ 진흥왕의 배신으로 다시 후퇴
→ 배신한 신라와 전투(관산성 전투)
→ 진흥왕에 의해 성왕 죽음
3. 신라
: 가장 중앙 집권화가 느렸음
(1) 내물 마립간 (4c)
1) 왜구의 침략으로 광개토대왕에게 도움을 청함
2) 왕권 강화
(2) 지증왕 (6c)
1) 국호를 ‘신라’로 확정
2) 마립간을 왕으로 칭호 변경
(3) 법흥왕 (6c)
1) 불교 공인
2) 율령 반포
(4) 진흥왕 (6c)
1) 화랑도를 국가조직으로 개편
→ 청소년을 국가에서 이용하기 시작하여 삼국통일에 이바지하는 시스템 구축
2) 단양 적성비, 4개의 순수비
4. 가야
: 철기 문화가 크게 발달
: 변한 지방에서 비롯됨
(1) 금관가야
1) 총 6개의 가야 중 대장 가야였음
2) 광개토대왕에 의해 쇠퇴
3) 법흥왕에 의해 멸망
(2) 대가야
: 진흥왕에 의해 멸망
'공시 기록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2) (0) | 2023.03.31 |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1) (0) | 2023.03.30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사회의 종교와 사상 (0) | 2023.03.29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3) (0) | 2023.03.28 |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1)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