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형법

[공시 기록] 형법 : 형법의 기본 개념

by IN×× 2023. 6. 29.

 

 

 

(1) 형법의 의미

 

1) 형식적 의미의 형법

 

범죄형벌(+보안처분)에 관한

<보안처분>
: 범인의 또 다른 범행을 막기 위하여 형벌 대신 교육이나 보호 따위를 하는 처분
: 보호 관찰처분, 거주제한처분, 보안감호처분의 세 종류가 있음.

 

국회(입법부)가 만든 형식적 의미의 법률

 

2) 실질적 의미의 형법 (광의의 형법)

 

형식은 고려하지 않음.

범죄 및 형사제재(형벌 + 보안처분)와 관련됨.

 

3) 형식적 의미의 형법 vs. 실질적 의미의 형법

 

형식적 의미의 형법이 모두 실질적 의미의 형법이 아니다.

친고죄·형의 집행 등은 형식적 의미의 형법이긴 하나, 실질적 의미의 형법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친고죄: 범죄의 피해자 또는 기타법률이 정한 자의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범죄

 

 

(2) 형법의 규범적 성격

 

1) 가설적(가언적) 규범

: 형법은 일정한 범죄를 조건으로 하여 이에 대한 법적효과를 규정하는 규범

 

2) 행위규범 및 재판규범

 

행위규범: 국민에게 어떠한 행위 등을 금지 시키거나 강제로 하게 명령을 내림.

재판규범: 법관이나 검사 같은 사법관계자들에게 사법 행위인 형벌권 부여를 규제하는 성격을 가짐.

 

3) 평가규범 및 의사결정규범

 

평가규범: 인간의 행위가 공동체의 질서에 어긋나는지 평가하는 것

의사결정규범: 어떤 행위를 하거나 하지 못하게 하는 것

 

 

(3) 형법의 기능

 

1) 보장적 기능

 

범죄로 규정하지 않은 것으로 처벌 받지 않음.

죄형법정주의와 큰 연관이 있음.

 

2) 보호적 기능

 

형법은 사회질서의 기본가치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짐.

법익을 보호함.

 

3) 규율적 기능

 

일정한 행위를 하지 말라고 규제하는 질서 유지 및 사회방위 기능이 있으며 형법에 규정한 행위를 하면 처벌됨.

형법의 가장 근원적 기능으로서 보호적 기능과 보장적 기능을 이러한 규제적 기능에서 파생됨.

 

4) 사회보호적 기능

: 형법은 형벌 또는 보안처분에 의하여 국가나 사회의 질서를 침해하는 범죄에 대하여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가짐.

 

5) 보장적 기능과 보호적 기능과의 관계

 

보장적 기능과 보호적 기능은 같이 존재함.

형법은 법익침해를 수단으로 법익을 보호하므로 어느 한 기능을 강조하면 다른 한 기능이 그만큼 소홀하게 되는 완전한 반비례 관계에 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