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29

[공시 기록] 한국사 :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1. 3·1 운동 이전 민족 운동 (1) 1910년대 국내 민족 운동 1) 채응언: 마지막 의병장 ⇒ 즉, 의병 투쟁이 있었음. 2) 독립의군부(전라도) ① 1912년 임병찬이 만듦. ② 고종의 명령에 의해 만듦. ↳ 복벽주의: 나라를 되찾고, 군주정을 회복하려는 사상 *군주정: 나라를 다스리는 군주가 대대로 세습되며 이루어지는 정치체계 ③ 조선 총독에게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 시도함. 3) 대한광복회(경상도 대구) ① 1915년 박상진, 김좌진 등이 만든 단체 ② 공화정 주장 ③ (국내 민족운동이지만) 해외독립기지를 만들고자 함 ↳ 친일부호 처단 ↳ 의연금 모금 활동 *의연금: 사회적 공익이나 자선을 위하여 내는 돈 2. 1910년대 국외 민족 운동 (1) 남만주·서간도 ⇒삼원보(신민회) 1) 경학사.. 2023. 5. 9.
[공시 기록] 한국사 : 일제의 식민 지배 정책 1. 일제강점기 (1) 1910 ~ 1919년 (1910년대) 1) 무단통치(일제강점 1기) 2) 경제적 수탈: 토지 약탈 ⭐ (2) 1919 ~ 1931년 (1920년대) 1) 문화통치(일제강점 2기) 2) 쌀 약탈 (3) 1931년 이후(1930년대) 1) 민족말살통치(일제강점 3기) 2) 인적·물적 자원 약탈 (4) 조선총독부 1) 정무 총감 2) 경무 총감 * 일반적으로 정무 총감의 권력이 더 강해야 하나, 경무총감의 권력이 더 강했음 (정무 총감 < 경무 총감) 2. 1910년대: 무단통치 (1) 헌병경찰제 → 즉결처분권을 가지고 있음 (2) 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 말살 (3) 회사령 반포 [1910년] 1) 회사령: 조선에서 회사를 설립할 경우에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받도록 규정한 조.. 2023. 5. 2.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 (2) 1. 역사 연구 (1) 신채호 : 대한매일신보에 발표 ⇒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틀 마련 그 나라의 역사는 그 나라 민족이 써야 한다. 우리나라 여사는 우리 민족이 써야 한다. 우리나라 역사를 일본인, 중국인이 쓰면 안 된다! (2) 박은식 : 한국통사[1915년] 저술 → 나라는 형이요, 역사는 정신이다. 빼앗긴 나라는 정신만 살아있으면 언제든지 되찾을 수 있다. 2. 언론 (1) 한성순보 [1883년] 1)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 2) 순 한문으로 쓰여 있음 3) 박문국(인쇄소)에서 제작 4) 한성주보 *갑신정변으로 인쇄기가 부서져 잠시 중단되었다가 갑신정변 이후 한성주보로 다시 만들어짐. ① 한성순보: 열흘에 한 번 간행 ② 한성주보: 일주일에 한 번 간행 (2) 독립신문(민간신문): 서재필 (3) 제국.. 2023. 4. 28.
[공시 기록] 한국사 : 개항 이후 사회 문화적 변화(1) 1. 평등 사회 (1) 갑신정변(14개조 개혁 정강) 1) 문벌 폐지 2) 인민평등권 확립 (2) 동학농민운동 : 신분제 폐지(공·사노비를 없애자!) (3) 독립협회 : 인권운동을 펼침 (4) 갑오개혁(1차) 1) 신분제 폐지 2) 청상과부의 재혼이 허가됨. 2. 여성단체⭐⭐ ⇒ 찬양회 1) 한국 최초의 여성 운동 단체 2) 독립협회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짐. 3) 북촌 부인들의 모임 4) 여권통문 발표 [1898년] ① 한국 최초의 여성인권선언서 ② 여성의 평등한 교육권 등 명시 5) 여학교를 세움 → 순성여학교(한국 최초의 순수사립여학교) 3. 교육 (1) 근대학교 설립 1) 원산학사[1883년] ① 최초의 근대학교 ② 덕원 주민들이 돈을 모아 만든 사립 근대 교육기구 2) 동문학[1883년] : 정.. 2023.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