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29 [공시 기록] 한국사 : 서구 열강의 접근과 조선의 대응 1. 국내 정치 (1) 왕권강화를 위해 제도와 체계를 변화 1) 비변사 폐지⭐ ① 의정부 기능을 부활 ② 상군부 부활 *상군부: 주요 군사 관계의 일을 논의하는 관청 2) 종친부(왕족 등용) 3) 위계질서를 위해 법전 정비 ① 대전회통 ② 육전조례 (2) 개혁 정치 1) 삼정 문란을 극복하고자 함 ① 전정 ⇒ 양전사업 실시 : 소유권을 파악하는 사업 : 감춰진 토지를 색출하는 작업 ② 군정 ⇒ 호포제 실시(양반 부과) : 호(戶) 단위로 군포를 징수하는 방법 ③ 환곡 ⇒ 사창제 실시 (환곡 개혁) : 민간에게 위탁하기도 함 2) 서원 철폐 (647개소 → 47개소 인정) 3) 만동묘 철폐 *만동묘: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데 대한 보답으로 명나라 신종을 제사 지내기 위해 숙종 때 지은 사당 4) 경복.. 2023. 4. 14. [공시 기록] 한국사 : 양반신분제 사회와 상품화폐 경제(2) 1. 산업 (1) 농업: 이양법 (모내기법) 1) 노동력 감소 2) 생산량 증가 3) 이모작 가능(벼, 보리) ⇒ 광작 경영 가능 ⇒ 부농 출현(신향으로 발전) (2) 수공업 (조선 후기) 1) 민영수공업 ↑ 2) 선대제 수공업↑ : 민간 수공업자들이 공인이나 상인에게서 주문과 함께 자금과 원료를 미리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 3) 독립수공업 ↑ (3) 광산: 민영광산 → 설점수세제 *설점수세: 민영광산을 인정해주는 대신 세금을 징수한 광산 운영 정책 (4) 산업 1) 난전이 확대 *난전: 국가로부터 허가 받지 않은 점포 2) 금난전권을 시전에게 줌 ① 시전 상인이 상권을 독점하기 위해 정부와 결탁하여 난전을 금지할 수 있었던 권리 ② 시전상인들은 독점판매권을 바탕으로 부를 축적함 ③ 정조: 신해통공 .. 2023. 4. 13. [공시 기록] 한국사 : 양반신분제 사회와 상품화폐 경제(1) 1. 신분제도 (1) 법제적: 양천제도 (2) 실질적: 반상제 1) 양반 ① 초기의 양반은 문반·무반을 칭하는 용어였음. ② 이후, 가족·가문을 칭하는 용어로 확대 ③ 조선 후기, 양반의 수가 70% 이상 증가 - 공명첩: 국가에서 관직을 파는 것 - 납속책: 기부하면 양반으로 바꿔줌. - 족보 매매 및 위조 2) 중인(중간 계층) ① 기술관 : 잡과에 응시해서 급제한 역관, 의관 등 ② 서얼 : 아빠는 양반이나, 엄마는 양반이 아님 : 첩의 자식들 : 문과 응시 금지, 보통 무과에 응시 *조선 후기(19c)에는 서얼도 문과 응시가 가능해짐. 즉, 신분 상승이 가능해짐 *기술관들도 신분 상승을 요구하는 대규모 소청운동(상소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이들의 요청은 들어주지 않음 ⇒ 기술관들은 ‘시사’ 조직을 .. 2023. 4. 10. [공시 기록] 한국사 : 조선시대 세계관의 변화(2) 1. 붕당정치 *사화: 권력싸움에서 사림이 훈구에게 진 것 *사화 이후 지방으로 다시 내려간 사림은 서원을 만들고, 향약(향촌자치규약)을 만들어 권력을 유지하고자 함. *그 이후, 훈조의 소멸 등으로 사림은 중앙 정계로 복귀 ⇒ 선조 시기 (1) 선조 1) 동인·서인 ① 사림이 쪼개짐 ② 이조전랑을 가지고 싸움 : 관직 : 삼사의 관리와 인사권을 가지고 있어 권한이 매우 강했음 2) 북인·남인 ① 동인이 분열됨 ② 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나누어짐 ③ 북인은 광해군이 쫓겨나면서 같이 사라짐 (2) 인조: 서인이 주도하고, 남인이 보조적으로 참여함. (3) 현종: 예송논쟁 1) 1차 예송논쟁: 서인의 승 2) 2차 예송논쟁: 남인의 승 ⇒ 이후, 붕당정치가 변질됨 (4) 숙종 → 환국: 급작스럽게 정권이.. 2023. 4. 6.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