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법8

[공시 기록] 형법 : 구성요건의 요소 (2) / 위법성의 요소 1. 과실 (1) 과실의 의의 : 정상의 주의를 태만함으로써 죄의 성립 요소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 :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처벌된다. ex) 과실치사죄, 과실치상죄, 민식이 법 등 제14조(과실) 정상적으로 기울여야 할 주의(注意)를 게을리하여 죄의 성립요소인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 행위는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처벌한다. (2) 과실의 종류 1) 보통 과실 : 일반인에게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위반하는 것 2) 업무상 과실 : 일정한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같은 업무와 직무에 종사하는 보통인의 주의 정도를 위반하는 것 3) 중과실 : 행위자가 극히 근소한 주의를 함으로써 결과발생을 예견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주의로 이를 예견하지 못한 경우를 말.. 2023. 8. 2.
[공시 기록] 형법 : 구성요건의 요소 (1) ① 객관적 구성요건 요소 : 외부적으로 그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구성요건 요소 ex) 행위의 주체, 객체, 결과, 수단, 행위, 인과관계, 객관적 귀속, 행위 상황 등 ② 주관적 구성요건 요소 ⭐ : 행위자의 내심에 속하는 요소 ex) 고의, 과실, 목적, 불법영득의사 등 1. 부작위범 (1) 부작위범의 의의 1) 어떠한 행위를 하지 않는 것 2) 소극적 행위 3) 마땅히 기대되는 행위(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 4) 의무(요구) 규범 위반 1)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 2) 적극적 행위 3) 사람을 칼로 찔러 죽이는 행위, 물건을 훔치는 행위 등 주체자가 어떠한 행위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 4) 금지규범 위반 (2) 부작위범의 구조 1) 진정부작위범 : 부작위 자체가 범죄가 되는 것 ex) 퇴거불응죄 등 .. 2023. 7. 27.
[공시 기록] 형법 : 죄형법정주의 및 형법의 적용범위 1. 죄형법정주의 (1) 죄형법정주의 ⭐ : 범죄와 형벌은 법으로 정해야 한다. (2) 죄형법정주의의 원칙 1) 형식적 의미의 죄형법정주의 ① 성문법주의(법률주의) : 범죄와 형벌은 성문의 법률로 규정되어야 함. : 관습법 금지(오직 국회에 의해서 제정된 법률에 의해서만 가능) ② 소급효 금지의 원칙 : 형벌 법규가 시행된 이후의 행위에 대해서만 그 법규를 적용해야 하고, 법 시행 이전의 행위에 대해서 소급 적용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 ③ 명확성의 원칙 : 어떤 행위가 범죄이며 각각의 범죄에 대해 어떤 형벌이 부과되는지에 대하여 법률에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규정되어야 한다는 원칙 ④ 유추해석 금지의 원칙 *유추해석: 어떤 사항에 대하여 직접 규정한 법 규정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사항에 대하여 규정한 조항을.. 2023. 7. 19.
[공시 기록] 형법 : 형법의 기본 개념 (1) 형법의 의미 1) 형식적 의미의 형법 ① 범죄와 형벌(+보안처분)에 관한 법 : 범인의 또 다른 범행을 막기 위하여 형벌 대신 교육이나 보호 따위를 하는 처분 : 보호 관찰처분, 거주제한처분, 보안감호처분의 세 종류가 있음. ② 국회(입법부)가 만든 형식적 의미의 법률 2) 실질적 의미의 형법 (광의의 형법) ① 형식은 고려하지 않음. ② 범죄 및 형사제재(형벌 + 보안처분)와 관련됨. 3) 형식적 의미의 형법 vs. 실질적 의미의 형법 ① 형식적 의미의 형법이 모두 실질적 의미의 형법이 아니다. ② 친고죄·형의 집행 등은 형식적 의미의 형법이긴 하나, 실질적 의미의 형법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친고죄: 범죄의 피해자 또는 기타법률이 정한 자의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범죄 (2) 형.. 2023.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