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시 기록/한국사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1)

by IN×× 2023. 3. 24.

 

 

 

 

<들어가기 전>

 

- 선사시대

: 문자가 없음

: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 역사시대

: 문자가 있음 (, 기록이 있음)

: 철기시대

 

 

 

1. 구석기

 

(1) 뗀석기, 슴베찌르개

 

*슴베찌르개는 구석기 후기의 도구

*돌을 다듬는 정도에 따라 전·중·후기로 나뉨

 

(2) 이동 생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

 

(3) 대표 유적지

: 공주 석장리

: 연천 적곡리

 

(4) 채집경제

 

 

 

2. 신석기

 

(1) 간석기

 

(2) 농경·목축의 시작

: 강가나 해안가에 거주

: 정착 생활의 시작(움집)

 

(3) 토기

 

(4) 생산경제

 

(5) 신앙이 발달됨

토테미즘: 특정 동물을 숭배하는 것

애니미즘: 자연물을 숭배하는 것(태양이나 큰 나무 등)

샤머니즘: 주술을 숭배하는 것

 

 

3. 청동기

 

(1) 계급 발생

: 사유재산제도가 급속하게 발전했기 때문에 계급이 발생

: 빈부격차로 사유재산제도가 생김

 

(2) 금속제 사용

 

(3) 군장(부족장) 출현

고인돌

비파형동검(청동검): 한반도 북부와 만주에서 출토

군장이 직접 하늘에 제사를 지냄: 제정일치사회

 

 

4. 철기시대

 

(1) 대량 생산 가능

철제무기: 초기 철기시대 때, 전쟁이 크게 증가

* 초기 철기시대: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마한, 변한, 진한

 

철제농기구: 인구 증가

 

(2) 세형동검 · 잔무늬 거울

: 우리나라의 독자적 청동 문화

 

 

5. 고조선

 

-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국가

- 비파형동검,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1) 단군 조선

청동기 문화를 바탕

강력한 왕을 두기도 함(부왕, 준왕, ·대부·장군)

중국의 한 국가와 대립할 정도로 강대국

 

(2) 위만 조선

진한 교체기 때

위만 조선은 단군 조선의 준왕을 내쫓음.

위만의 업적

: 한반도에 철기문화를 확대보급함

: 중계무역으로 크게 성장

: 무역마찰이 일어나면서 중국의 한 무제에 의해 무너짐

: 한나라는 옛 고조선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4개의 군현을 설치(한군현)

: 8조법이 60여개로 증가함

 

 

6. 초기 철기국가

 

(1) 부여

5부족이 연합(5부족연맹왕국)

왕이 있으나, 왕권은 상당히 미약

: 마가, 우가, 구가, 저가 부족장

: 부족장이 같이 정치

: 부족장의 권력이 왕과 대등

: 독립적으로 자기 영역(사출도)을 통치(왕의 간섭×)

대표적 풍습

- 순장

- 영고(12월에 하늘의 제)

부여의 왕자: 주몽

 

(2) 고구려

5부족연맹국가

, 대가 부족장: 귀족회의기구(부족장이 하는 회의): 제가회의

대표적 풍습

서옥제(데릴사위제, 처가살이제)

동맹(10월에 하늘의 제)

 

(3) 옥저

해안가 근처, 비옥한 토지

특산물: 소금, 해산물

×, 부족장(읍군, 삼로)이 각 지역 통치

 대표적 풍습

- 가족묘(골장제)

- 민며느리제도(어린 신부를 맞이하는 제도)

*제천행사×

 

(4) 동예

 해안가 근처

 특산물: 단궁, 과하마, 반어피

 ×, 부족장(읍군, 삼로)

대표적 풍습

- 무천: 제천행사

- 책화: 부족간의 경계를 중시

 

(5) 삼한: 마한·변한·진한

우리나라의 남부지방

: 벼농사가 잘 됨

: 하늘의 제사 2(5월제, 10월제)

부족장(신지, 읍차)들이 통치

별도의 제사장이 존재 : 천군(‘소도’지역을 통치)

*제정분리사회(정치, 제사가 각자 따로 분리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