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29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려의 통치 체제와 국제 질서의 변동(1) 1. 고려의 전체 흐름 (1) 호족 연합정권: 호족 + 6두품 계열의 지식인 (2) 문벌귀족사회: 파벌을 이루어서 세습하는 것 - 음서: (정치적으로) 5품 이상 관료 자제들에게 특채를 주는 것 - 공음전: (경제적으로) 5품 이상 관료들이 받았던 토지 (3) 무신정권[정변]: 몽골(원나라)의 침략으로 무신정권 붕괴 (4) 원 간섭기 1) 권문세족 ① 원나라(몽골)에게 빌붙는 사람들 ② 악질적이고 부패한 세력 2) 신진사대부 ① 고려 말 개혁세력 ② 이성계와 신흥세력들이 연결되면서 조선이란 국가로 넘어감 2. 고려 초반 왕들의 업적 (1) 태조 1) 호족에 대한 강경책 ① 기인(인질): 지방 유력 호족의 자식들을 수도에 일정기간 머물게 하는 것 ② 사심관: 지방에서 중앙으로 올라온 중앙고위관리들이 자기 .. 2023. 3. 30.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사회의 종교와 사상 1. 천신신앙 : 하늘을 중시 2. 불교 (1) 수용 : 불교는 왕권강화에 도움이 되는 종교 : 불교는 원래 자비와 평등을 중시 하였느나, 업·윤회 등을 강조시켜 신분을 정당화시키는 이론이 만들어졌음. 1) 고구려: 소수림왕 from 전진(중국) 2) 백제: 침류왕 from 동진(중국) 3) 신라: 법흥왕(불교 공인) from 고구려 (2) 교종 : 경전 연구를 통해 해탈할 수 있음. (3) 발해 1) 상경(도읍지)에 절터와 석등이 많이 출토 2) 대표적 불상: 이불병좌상 (4) 통일신라⭐ 1) 불교의 대표적인 문제점 ① 종파 대립(경전 가지고 싸움) ② 대중성이 떨어짐 2) 보완하려고 노력했던 고승 ① 원효 : 화쟁사상(일심) → 경전 가지고 싸우지 말자! : 아미타 신앙 → 나무아미타불(죽어서 부처 .. 2023. 3. 29.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3) 1. 삼국통일 (1) 수나라 : 고구려 → 을지문덕(살수대첩) [612년] : 건축 과정에서 쿠데타가 일어남. 쿠데타 과정에서 고구려의 ‘연개소문’ 등장 (2) 당나라 1) 고구려: 안시성 [645년] 2) 나당동맹 3) 백제 멸망 [660년] : 멸망 후 부흥 운동이 일어났으나 백강전투[663년]를 마지막으로 끝이 남. 4) 고구려 멸망 [668년] : 신라가 고구려의 부흥 운동을 지원함. 5) 나당 전쟁을 통해 삼국통일 완성 * 나당 전쟁의 대표적 전투: 매소성 · 기벌포 전투 2. 남북국(삼국통일이 된 이후) * 남쪽에는 통일신라, 북쪽에는 발해가 있던 시기 (1) 통일신라 1) 무열왕 ① 진골 출신: 최초의 진골 출신임. 기존에는 성골들이 왕위 계승을 하였음. ② 백제를 멸망시키는 .. 2023. 3. 28. [공시 기록] 한국사 : 고대국가의 지배 체제(2) 1. 고구려(주몽) (1) 고국천 (2c) 1) 진대법 실시 2) 부족적 성격의 5부를 행적적 성격의 5부로 바꿈. (2) 소수림왕 (4c) 1) 무너져가는 고구려를 부활시킴 2)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수용 3) 태학을 설립 4) 율령을 반포 (3) 광개토대왕 (5c) 1) 신라에 쳐들어온 왜구를 소탕해줌 2) 한강의 이북지역(백제)을 확보하기도 함 3) 금관가야를 공격함. (4) 장수왕 (5c) 1) 평양으로 천도 2)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공격 → 한강에서 충주 지역까지 차지함 2. 백제 (1) 고이왕 (3c) 1) 한강 유역을 장악해 영토를 넓힘 2) 율령을 반포 3) 관등(관직등급) 4) 관복: 관직에 따라 옷의 색깔을 다르게 두는 것 (2) 근초고왕 (4c) 1) 중국(요서, 산둥, 동진)으로 진.. 2023. 3. 25. 이전 1 ··· 4 5 6 7 8 다음